12일 한국토지주택공사(LH)에 따르면 지난해 세종시에서 모두 22개의 아파트 용지가 팔렸다. 지난 2010년에 단 5개 아파트 용지만 팔린 것과 비교하면 4배 이상 인기가 높아진 셈이다. 지난해 팔린 22개 부지에 지을 수 있는 아파트는 모두 1만2318가구에 이른다.
지난해의 경우 중견 건설업체들이 아파트 용지를 많이 샀다. 포스코건설이 분양받은 2개 용지와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이 매입한 임대주택 용지 1개를 제외한 나머지 19개 용지는 중견 건설업체 또는 주택사업 시행사에 분양됐다.
손바뀜도 잦았다. 쌍용건설이 계약을 해지한 1-5생활권 L1블록(528가구)과 M1블록(631가구)은 포스코건설이 가져갔다. 효성이 포기한 1-4생활권 M1블록(414가구)은 모아주택의 몫이 됐다.
두산건설이 계약 해제한 1-4생활권 M7블록(519가구)은 한양의 계열사인 로하스리빙에, 금호산업이 해제한 1-4생활권 M3블록(720가구)은 아시아메트로월드투자개발에 각각 돌아갔다.
또 포스코건설이 포기했던 1-2생활권 L2블록(478가구)은 티에스건설이 새 주인이 됐다. 대림산업이 계약 해제한 1-4생활권 L4블록(198가구)과 M6블록(668가구)은 각각 모아주택과 티에스개발이 사들였다.
다음달에는 삼성물산·롯데건설·포스코건설·대림산업 등이 계약 해지한 아파트 용지에 대한 재매각도 추진된다. LH는 중대형 아파트 건설 용도로 정해진 이들 택지에 대해서 지구단위계획을 변경해 중소형 비중을 늘려줄 방침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