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일 금융감독원과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중소기업 직접 자금 조달액은 2조5000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대기업(72조2000억원)의 3.5% 수준이다.
특히 대기업들은 올해 글로벌 재정 우려에 따라 직접금융 조달금액을 2010년 52조원에서 작년 72조원으로 늘렸지만 같은 기간 중소기업은 3조7000억원에서 2조5000억원으로 줄었다.
중소기업의 직접자금 조달이 어려운 이유는 유상증자나 기업공개(IPO)를 통한 주식 발행이 쉽지 않고 신용등급이 낮아 회사채 발행도 힘들기 때문이다.
때문에 중소기업은 주로 은행 창구를 찾아 부동산 담보나 신용으로 대출을 받을 수밖에 없다는 분석이다.
이에 따라 작년 말 기준 중소기업의 은행대출 잔액은 441조원으로 대기업(115조원)의 약 3.8배에 달했다. 그러나 중기들은 높은 금리를 부담해야 하고 부동산 담보를 제시해야 하기 때문에 은행권 대출은 여전히 어렵다.
중소기업중앙회가 작년 11월 중소제조업체 300곳을 대상으로 금융이용 애로실태를 조사한 결과, 응답자 중 가장 많은 28.6%가 높은 대출금리를 뽑았다. 대기업의 대출금리가 보통 연 4∼5%인 것에 반해 중소기업은 최고 9% 수준에 달한다.
한편 올해 1분기는 특히 유로존 재정위기 등의 여파로 대출 더욱 어려워질 전망이다.
한국은행이 작년 12월 16개 은행을 상대로 조사한 결과, 올해 1분기 은행의 대출태도지수는 중소기업이 `0(제로)‘, 대기업이 `6’이었다. 지수가 낮을수록 대출에 소극적인 것을 뜻한다.
이에 따라 금융위원회는 중소기업 전용 제3의 주식시장을 연내 개설하기 위해 한국거래소와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해 준비 중이다. 금융투자협회는 오는 5월 중소기업들이 쉽게 채권을 발행할 수 있는 제3의 채권시장을 열 예정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