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2011년 말 기준 시중은행들이 발행한 국외채권 규모는 554억달러로 2010년 말(489억달러)에 비해 65억달러나 늘어났다.
1년 이상 장기외화차입 규모도 2010년 말에는 132억달러에 그쳤으나 2011년 말에는 158억달러로 26억달러나 더 증가했다.
국외채권과 장기외화차입을 합한 `외화자금’ 규모는 2011년 말 712억달러에 달했다.
특히 2010년 말에 비해선 2011년 한 해 동안 91억달러나 증가했다. 이는 연간 증가 규모로는 역대 3번째다. 특히 2011년 증가분의 경우 세계경기가 둔화 조짐을 보임에 따라 은행들이 선제로 실탄 확보에 나섰다는 점에서 과거와는 다른 양상을 보인다는 분석이다.
또한 2011년 한해 늘어난 91억달러는 모두 장기자금이어서 자금 운용에도 안정성이 있다. 모두 1년 이상 장기자금이어서 만기 불일치에 따른 위험부담이 상대적으로 적다는 것이다.
한편 시중은행들이 외화자금 확충에 적극적으로 나설 태세여서 올해 시중은행의 외화자금 보유액은 더욱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지난 1월20일 김중수 한국은행 총재 주재로 열린 금융협의회에 참석한 시중은행장들은“최근에는 외화차입처를 호주, 말레이시아, 브라질, 일본 등으로 다변화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실제로 2010∼2011년 시중은행의 신규 국외채권 발행 규모를 보면 미국 달러화는 2010년 104억9000만달러였다가 2011에는 93억달러로 오히려 11억9000만달러 줄었다.
반대로 일본 엔화는 21억달러(2010년)에서 38억달러(2011년)로 17억달러나 크게 늘었고, 중국 위안화와 스위스 프랑 등 기타통화 발행도 31억9000만달러(2010년)에서 38억6000만달러(2011년)로 6억6000만달러 증가했다.
특히 엔화 외에도 싱가포르 달러화를 통한 발행은 6억6000만달러(2010년)에서 11억7천만달러(2011년)로 5억2000만달러나 늘었고, 태국 바트화 역시 3억9000만달러(2010년)에서 6억7000만달러(2011년)로 2억8000만달러 증가했다.
이에 대해 한은 관계자는 “달러화가 안전자산이기는 하지만 미국 경기가 좋지 않은 점을 고려해 국내 은행들이 포트폴리오 차원에서 다양한 국가를 통한 자금다변화에 나선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