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이(친이명박)계와 친박(친박근혜)계로 나뉜 새누리당과 친노(친노무현)계와 구(舊) 민주계로 나뉜 민주통합당의 계파별 다툼으로 여야 분열이 가속화되면서 향후 총선구도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주목된다.
새누리당 최병국 의원(3선·울산 남구갑)은 12일 공천 탈락에 불복, 탈당을 선언했다.
앞서 낙천에 불복해 탈당을 선언한 허천·이윤성·전여옥·박종근 의원에 이어 다섯 번째이고, 친박계인 박종근 의원을 제외하면 이들은 모두 친이계다.
전날 기자회견을 통해 "이번 공천을 사실상 '쫓아내겠다'는 뜻으로 받아들인다"며 탈당을 예고했던 친이계 진수희 의원은 이날 탈당선언을 일단 보류했지만 여전히 탈당 쪽에 무게를 두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함께 강승규·신지호·진성호·김성회·이화수·유정현·배영식 의원 등도 탈당 대열 합류 여부를 두고 고민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새누리당에서 탈당한 의원들의 수가 많아지면서 당 외부에 있던 기존 보수세력과의 연대, 이른바 '비박(非박근혜)'계의 집단 움직임으로 이어질 것이라는 분석도 커지고 있다.
전여옥 의원의 입당으로 1석을 확보한 국민생각과 15석의 자유선진당이 연합, 원내 교섭단체 구성(20석)과 함께 총선 기호 3번의 제3당 출현 가능성도 점쳐진다.
관건은 향후 대권을 고민하고 있다고 밝힌 정운찬 전 국무총리가 어디로 움직이느냐가 될 것으로 보인다.
대권주자급인 정 전 총리가 제3당에 합류할 경우 이들의 영향력은 새누리당뿐 아니라 총·대선 판도 전체에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다만 이날 탈당을 선언할 것으로 예상됐던 김무성 의원이 예상을 뒤엎고 당 잔류를 선언하며 보수 분열에 일시적 제동을 걸었으나 전체적 구도에는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이라는 분석이다.
정홍원 공천위원장이 이미 이뤄진 공천에 대해 재심의 여지가 없음을 분명히 한 상황이고, 이미 낙천한 친이계 의원들도 탈당의 시기를 조율하고 있을 뿐 탈당 여부 자체는 변화가 없을 것으로 보인다.
신율 명지대 교수는 “김 의원의 당 잔류 결정으로 급격한 ‘탈당 러시’가 늦춰졌을 뿐, 이미 낙천한 친이계들과 공천을 받지 못할 가능성이 높은 현역 의원들의 탈당은 계속 이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에 따라 친이계들은 수도권에서 낙천한 의원들을 중심으로 우선 ‘불공정 공천’에 대한 문제제기를 이어갈 방침이다.
강승규(서울 마포갑) 의원은 이날 공천무효 확인소송 및 효력정지 가처분신청을 내고 “컷오프 기준이 친이계 등 특정 의원을 학살하기 위해 무원칙하게 적용된 것이 확인됐다”고 주장했다.
민주통합당은 이날 구 민주계인 한광옥 전 의원이 '정통민주당(가칭)'의 창당을 선언하면서 '분당'의 신호탄을 쐈다.
김덕규 전 국회부의장과 장기표 신문명정책연구원 이사장이 합류한 정통민주당의 창당식에서 대표를 맡은 한 전 의원은 "스스로 '폐족'이라고 부를 만큼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졌어야 하는 노무현세력이 점령군 행세를 하며 정통 민주당세력에 대해 '공천학살'을 자행한 건 역사의 후퇴"라며 현 민주통합당 지도부를 정면 겨냥했다.
이들은 공천에서 탈락한 호남 의원들의 추가 영입에 대한 의사도 적극적으로 나타내고 있어 향후 선거구도에서 야권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주목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