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의약품안전청은 2011년 커피 원두 수입량을 기준으로 한 1일 커피 소비량은 약 300톤으로 경제 활동 인구(2400만명)가 하루에 커피 한잔 반을 소비하는 것으로 조사됐다고 16일 밝혔다.
커피 300톤은 에스프레소로 계산하면 3700만 잔에 해당하는 수치다.
시중에 유통되는 커피의 상당수는 동남아시아와 남미에서 수입된 제품으로 확인됐다.
식약청이 지난 11년간(2001~2011년) 수입 현황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총 83개국에서 수입되고 있으며 주요 수입국은 베트남(38%), 브라질(15%), 콜롬비아(11%) 순이었다.
커피 수입량은 2001년 7만9526톤에서 지난 해에는 12만3029톤으로 1.6배 증가했다.
금액 기준으로는 같은 기간 8000만 달러에서 6억6800만 달러로 8배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국내 커피 물량의 대부분은 원두 형태(88%)로 수입됐다.
원두는 주로 동남아시아와 남미 지역에서, 볶은 커피 등 가공커피는 미국과 이탈리아 등에서 수입된 것으로 나타났다.
원두 수입량은 2001년 7만6757톤에서 2011년 10만8918톤으로 1.4배, 금액은 6200만 달러에서 4억1200만 달러로 6.7배 각각 증가했다.
이는 커피 전문점과 가공 수요 증가 등이 주요 원인으로 분석된다.
일본산 커피의 경우 지난해 3월 원전사고 이후 수입 때마다 방사능 검사를 실시해 방사능이 검출되지 않은 커피만 수입됐다고 식약청은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