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언스 데일리의 16일 보도에 따르면 미국 링컨 소재 네브래스카 주립대(UNL) 연구진은 애기장대 실험을 통해 가뭄을 겪은 식물 집단은 그렇지 않은 집단에 비해 가뭄에 신속히 회복반응을 보인다는 결과를 도출했다.
연구진은 “식물들이 탈수 스트레스를 기억하면 다시 가뭄이 오거나 이식(移植)될 때 생존율이 높아진다”고 말했다.
이는 많은 정원사가 경험으로 알고 있는 사실이지만 과학적 연구로 확인되기는 처음이다.
실제 정원사들은 식물을 옮겨심기 전 며칠동안 물을 주지 않고 가뭄에 견디는 훈련을 시켜 새로운 환경에 잘 적응하도록 하는 방법을 사용하기도 한다.
가뭄 훈련을 받은 식물은 특정 하위그룹 유전자의 전사(轉寫: DNA를 원본으로 사용해 RNA를 만드는 과정)활동을 증가시키는 방법으로 다시 찾아온 가뭄에 대응하는 것이다.
연구진은 이 연구를 가뭄을 잘 견디는 작물의 교배나 유전자 조작 등에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