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일 국제금융센터와 골드만삭스를 비롯한 외국계 투자은행(IB)에 따르면 올해 한국의 GDP 대비 원유 순수입 비중은 지난해 10.6% 보다 1.1%포인트 상승한 11.7%에 이를 것으로 추정된다.
지난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의 11.0% 보다 높은 수준이다.
원유 수입 비율은 1996년 3.7%에서 꾸준히 상승해 6%대에 머물렀으나 2008년 급등했다.
2009년 8%대로 하락했던 비율은 다시 급증세로 돌아섰다.
전문가들은 유가가 상승으로 에너지부문 지출이 증가하면 투자와 소비 등 다른 부문 지출이 줄어 경제 성장을 저해할 수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물가에도 부담을 줄 것이란 전망이 우세하다.
외국계 IB들 역시 국제유가 급등세가 지속되면 한국 경제와 증시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분석했다.
노무라는 한국은 GDP 대비 원유 순수입 비중이 높아 유가 상승에 따른 부정적 효과가 크다고 밝혔다.
크레디트스위스도 한국의 수출이 경기에 민감한 품목 위주로 구성돼 국내 증시가 세계 경기 변동에 상대적으로 취약하다고 진단했다.
최근 국제시장에서 원유에 대한 투기자금이 대폭 증가해 변동성이 커졌다는 점도 불안 요인으로 분류된다.
뉴욕상업거래소(NYMEX)의 서부텍사스산 원유(WTI) 투기 순매수포지션은 일일 계약 30만건을 돌파해 사상 최고치에 근접했다.
국제금융센터 관계자는 “GDP 대비 원유 지출 비중이 과도할 경우 다른 분야 소비자 줄어 경제 전반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며 “투기 세력 증가로 시장 변동성이 확대되면 유가 예측이 어려워져 기업 경영과 주가에도 부정적이다”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