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관리본부는 국민건강영양조사(2006~2010년) 결과를 분석한 결과 30세 이상 성인의 대사증후군 유병률은 28.8%였다고 22일 밝혔다.
대사증후군이란 만성적인 대사 장애로 복부 비만·혈압 상승·혈당 상승·중성지방 상승·고밀도(HDL) 콜레스테롤 저하의 5가지 가운데 3가지 이상이 기준치 이상인 경우를 말한다.
대사증후군이 있으면 일반인에 비해 심혈관 질환의 발생 위험은 2배 이상, 당뇨병 발생 위험은 4~6배 이상 높아진다.
유방암이나 대장암 등 각종 암 발생의 위험도 올라간다.
이번 조사에서 남성은 31.9%, 여성은 25.6%가 대사증후군에 해당됐다.
대사증후군의 5개 요소 가운데 1개 이상에서 기준치를 초과한 사람은 73.7%였으며, 남성(79.7%)이 여성(67.8%)보다 많았다.
남성은 사무직 종사자, 여성은 전업주부에서 대사증후군 위험도가 높았다.
남성에서는 사무 종사자를 1로 잡았을 때 서비스·판매 종사자의 대사증후군 위험도는 0.84배, 농림어업 종사자 0.57배, 단순노무 종사자 0.55배였다.
여성의 경우 사무 종사자가 1일 때 단순노무 종사자 1.18배, 서비스·판매 1.43배, 전업주부는 1.61배 높았다.
전업주부는 비전업주부와 비교했을 때 복부 비만은 1.76배, 혈당 상승 1.49배, HDL 콜레스테롤 저하 1.44배, 중성지방 상승 1.85배로 높게 나타났다.
전병률 질병관리본부 본부장은 “대사증후군을 치료하려면 식습관 개선과 신체 활동 증가, 금연, 절주, 스트레스 관리 등의 생활습관 교정이 우선돼야 한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