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레이시아를 방문 중인 반 총장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한국 대통령과 이 문제를 논의할 것이며 이 회담에 참석하는 다른 지도자들과도 이야기할 것”이라고 말했다.
반 총장은 이 자리에서 북한의 공식 영문명칭 약자인 DPRK를 적시하며 “유엔 사무총장으로서 나는 북한 정부의 위성 발사 의도에 깊은 우려를 표시한다”며 “북한의 위성발사 계획은 안보리 결의를 분명하게 위반한 것이며, 한반도의 평화와 안보를 위협하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반 총장은 또 북한의 위성발사 계획은 북한의 핵개발을 종식하려는 국제사회의 오랜 노력 속에서 최근 나타난 긍정적 분위기를 해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유엔은 지난 2009년 북한이 미사일과 핵실험을 한 뒤 안보리 결의 1874호를 채택해 어떠한 목적의 전략 미사일 발사도 금지하고 있다.
이에 대해 김성환 외교통상부 장관은 이날 외교부 청사에서 열린 내외신 브리핑에서 "양자회담에서 논의할 수 있다는 맥락에서 (반기문 총장이)말씀하신 것으로 추정한다"며 양자회담에서의 논의 가능성을 언급했다.
김 장관은 "서울 핵안보정상회의 기간중 미국과 중국의 정상회담이 예정돼 있어 북한의 '광명성 3호' 발사 계획을 중단시키기 위한 논의를 하게 될 것"이라며 "북한의 소위 실용위성 발사계획에 대해 미국·중국·일본·러시아 4개국 모두 유엔 안보리 결의 위반이라는 인식을 하고 있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김 장관은 북한이 핵안보정상회의에서 북핵관련 성명이 나올 경우 이를 선전포고로 간주하겠다고 경고한 것에 대해선 “개별적인 국가의 문제는 이번 핵안보정상회의 논의 의제에 없는데 북한이 왜 그런 말을 하는지 이해할 수 없다”고 말했다.
김 장관은 북한이 광명성 3호 발사계획을 실행에 옮길 경우 취해질 조치에 대해서는 “아직은 북한이 발표만 했고 실제 쏘지 않았기 때문에 이후 상황에 대해선 말하지 않겠다”면서 “북한이 발사하지 않도록 외교적 노력을 집중하겠다”고 밝혔다. 다만 “북한의 로켓 발사에 대응해 한·미간 미사일 사거리 지침에 대해 협의를 하고 있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