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일 국제금융센터에 따르면 국내 기업들이 최근까지 발행한 딤섬본드는 모두 60억2000만위안(약 1조800억원).
딤섬본드시장에 뛰어든 기업은 이외에도 수출입은행, 산업은행, 롯데쇼핑, 신한은행 등이다. 특히 신한은행은 지난 7일 6억2500만위안을 조달했다.
한국 기업들의 채권 발행가는 비슷한 신용등급의 중국계 은행들과 유사한 수준이다.
앞서 중국은 위안화의 기축통화 추진을 위해 자국 내 모든 수출기업이 홍콩 위안화를 무역 결제통화로 사용할 수 있도록 최근 허가했다.
무역결제통화로서 위안화 위상이 점차 높아지면서 딤섬본드 시장은 더욱 확대될 것으로 국제금융센터는 분석했다.
그러나 달러 표시 채권의 유통금리가 최근 크게 떨어지고 있어 딤섬본드 발행은 조달 금리보다는 조달통화 다변화 용도로 의미가 큰 편이다.
국제금융센터는 올해 초 글로벌 발행시장 여건이 개선되고 중장기적으로 위안화 국제화 움직임이 확대되면 딤섬본드의 인기는 더욱 높아질 것으로 전망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