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핵안보회의> 미·중·러·일 정상들 양자외교에 올인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2-03-26 10:41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아주경제 강정숙 기자) 2012 서울 핵안보정상회의에는 미국, 중국, 러시아, 일본 등 세계 4강 정상들이 모두 참석했다.

4강 정상들은 26일 개막하는 핵안보정상회의를 전후로 활발한 양자회담을 갖고 한반도 정세 등 국제정세는 물론 상대국과의 양자현안에 대해 집중 조율한다.

이 대통령은 25일 오후 오바마 대통령과 한미 정상회담을 갖고 북한의 로켓 발사 계획을 강력히 규탄한데 이어 26일에는 후진타오 중국 국가주석, 드미트리 메드베데프 러시아 대통령과도 한중, 한러 정상회담을 갖을 예정이다.

오바마 대통령은 26일 외대 강연 후, 베드베데프 러시아 대통령과 미러 정상회담을 갖고 북핵 문제와 시리아 사태 등 국제적 현안을 논의한다.

특히 1년째 계속되는 시리아 유혈사태에 미온적인 태도를 보여온 러시아에 유혈사태 종식을 위한 러시아의 적극적인 역할을 당부할 것으로 알려졌다.

관심이 쏠리고 있는 일정은 오후에 있을 오바마 대통령과 후진타오 중국 국가주석 간의 미중 정상회담이다. 오바마 대통령은 정상회담을 통해 북한의 로켓 발사 문제를 저지하기 위한 중국의 대북 영향력 행사를 강력히 요청할 예정이어서 후진타오 주석의 대응이 주목된다.

이밖에 오바마 대통령은 25일 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 터키 총리와 회담을 갖고 이란핵문제와 시리아 사태 등을 논의했다. 26일에는 누르술탄 나자르바예프 카자흐스탄 대통령과도 양자회담을 갖고 아프가니스탄전쟁과 관련한 공조방안을 논의할 것으로 알려졌다.

25일 저녁 부인 류융칭 여사와 특별기편으로 입국한 후진타오 중국 국가주석은 오바마 대통령과의 미중 정상회담에 이어 제이콥 주마 남아프리카공화국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갖고 아프리카 정세 등을 논의할 예정이다.

후 주석이 남아공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갖는 배경에는 전통적으로 아프리카를 중시해온 중국의 외교정책을 과시하고, 28일부터 인도 뉴델리에서 브라질, 러시아, 인도, 중국 및 남아공 정상이 참여하는 브릭스 정상회의에 앞서 공조방안을 논의하려는 포석으로 해석된다.

메드베데프 러시아 대통령은 26일 이명박 대통령 및 오바마 미국 대통령과 양자 정상회담에 이어 마리아노 라호이 브레이 스페인 총리 그리고 압둘라 2세 요르단 국왕과도 정상회담을 가질 예정이다.

중국과 러시아는 서울에서는 양자 정상회담 일정을 잡지 않고 있다. 다만 서울 회의에 이어 뉴델리에서 열리는 브릭스 정상회의에 양국 정상이 함께 참석할 예정이어서 추후 정상회담이 성사될 것으로 관측된다.

4강 정상중 제일 늦은 26일 저녁 서울에 도착하는 노다 요시히코 일본총리만 현재까지 양자 정상회담 일정을 잡지 않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26일 이한 직전 이명박 대통령과의 실무 정상회담을 갖는 방안이 검토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성사 여부가 주목되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