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유가 불안, 고물가 도화선되나?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2-04-02 06:52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아주경제 김희준 기자) 국제유가 불안이 진정국면을 보였던 국내물가의 고공행진을 부추길 수 있다는 전망이 제기되고 있다.

특히 정부가 석유현물 전자상거래 등의 대책을 마련했지만, 유가상승기조가 계속될 경우 물가상승을 막기는 역부족일 것이라는 진단이다.

이란의 원유수출 축소 조치에 사우디아라비아가 증산계획을 발표하면서 국제유가는 최근 큰 폭으로 하락한 상황이다. 미국과 영국, 프랑스 등 3개국이 국제유가 안정을 위해 비축유 방출 검토 사실이 전해지면서 국제유가 하락폭이 커졌다는 분석이다.

선진국들의 비축유가 방출되면 원유 수입국들의 수요가 줄어 유가가 안정될 수 있다.

하지만 비축유 방출 논의 자체만 놓고 볼 때, 이는 그만큼 선진국들의 이란 제재가 강화될 것임을 시사해 유가 안정에 득이 될 것이 없다는 지적도 제기되고 있다.

또한 이란의 핵무기 보유를 둘러싼 국제사회의 갈등 양상을 볼 때 당분간 유가 안정은 어려울 것이라는 게 대체적인 해석이다.

실제로 전문가들은 올여름 예정된 유럽연합(EU)의 이란산 원유수입 금지나 미국의 이란 중앙은행 원유 거래 제재가 현실화되면 유가 상승이 더욱 심화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특히 전 세계적으로 잉여 공급 물량이 줄고 있어 국제 유가가 배럴당 5∼14달러 정도 더 오를 수 있다는 전망이다.

이외에도 지난해 대지진 후 일본의 전력부족 사태가 올해도 재현되면서 원유 수요를 높일 것이란 우려도 나오고 있다.

이같은 위기를 인식한 정부는 지난달 29일 중앙청사에서 박재완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물가관계장관회의를 열어 유가 안정화 방안 등을 논의했다.

정부는 회의를 통해 알뜰주유소 확대와 석유제품 혼합판매 지원을 통해 국내 석유시장 유통구조를 개선한다는 방침을 세우고 다음날인 30일에는 석유제품 현물 전자상거래 시장이 개설했다.

또한 정부는 농산물 온라인 직거래를 활성화하고자 aT(농수산식품유통공사)가 운영 중인 온라인쇼핑몰 ‘싱싱장터’를 확대하고, 특히 행정안전부를 통해 16개 시·도와 228개 시·군·구의 지방공공요금, 개인서비스요금을 매월 점검하기로 했다.

하지만 이같은 노력에도 불구하고 국제 투자은행(IB)를 비롯한 전문가들의 물가진단은 부정적이다.

실제로 HSBC는 한국에 대해 “글로벌 유가가 배럴당 120달러를 지속적으로 기록할 경우 수개월간 소비자물가는 0.5%포인트 상승할 것”이라고 우려했다. 골드만삭스는 “브렌트유가가 배럴당 130달러를 넘는 수준이 되면 (물가가) 심각한 문제에 직면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국내 전문가들도 고공행진 중인 국제유가가 물가 등 실물지표를 건드리면서 경기회복에 걸림돌이 될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김창배 한국경제연구원 부연구위원은 최근 잇단 경기호전을 전망한 지수에도 불구하고 “고유가 충격 등이 아직 실물지표에 본격 반영되지 않았다”고 진단했다.

이성한 국제금융센터 원장도 "정부가 단기적인 유가 흐름에 치우치기 보다는 장기적인 유가 상승이 우리 경제에 미칠 영향을 감안해 현실적인 대비책을 세워야 한다"고 조언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