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더십에 타격을 입은 한명숙 대표 등 지도부 총사퇴 가능성은 물론 비상대책위원회로의 체제 전환 가능성도 높은 상황이다.
4·11 총선의 암담한 성적표를 받아든 민주통합당은 12일 침통한 분위기 속에 지도부의 무능을 지적하는 목소리가 잇따라 제기됐다. 지도부 비판세력은 한 대표의 사퇴와 정계은퇴는 물론 지도부 총사퇴 주장까지 하고 나섰다.
민주통합당 장성민 전 의원은 "정권을 빼앗긴 지 불과 5년 만에 하늘과 민심이 준 정권교체의 기회를 민주당은 오만과 자만의 리더십으로 스스로 망쳤다"며 "역사의 시계바늘을 거꾸로 돌린 현 민주당 지도부는 즉각 해체하고 당은 비상대책위를 구성해 운영해야 한다"고 말했다.
당 분위기가 흉흉한 가운데 지도부에서도 자성의 목소리가 나오며 지도부 총사퇴 가능성을 높이고 있다.
박지원 최고위원은 트위터에서 "국민은 준비되었건만 민주당은 요행을 바랐다. 사실상 패배에 대해 사과드리며 제 입장을 조속한 시일 안에 밝히겠다"고 말했고, 이인영 최고위원은 "국민들께 참 죄송하다. 과반수로 총선에서 승리할 수 있는, 두 번 다시 오기 힘든 기회를 놓쳤다. 분하고 또 분하다"고 밝혔다.
현재 민주통합당에서 원내 입성에 성공한 선출직 최고위원은 한명숙·박지원·박영선·이인영 최고위원 등 4명에 불과하다. 친노(친노무현)그룹의 중추였던 문성근 최고위원 및 구(舊) 민주당계와 신주류를 조율하던 김부겸 최고위원이 낙선하며 통합의 효과가 반감됐음은 물론 대선 때까지 당을 이끌어갈 동력을 상실한 것이 사실이다.
당 지도부가 물러나고 조기 전당대회를 치를 경우 당 분열은 불가피해 보인다. 현재 친노계 인사들이 대거 국회로 복귀하며 입김이 세진 가운데 책임론을 강조하는 구 민주계가 마찰을 빚을 가능성이 높고, 이 경우 시민사회·노동계의 이탈이 우려된다.
비대위 체제를 꾸린다고 해도 비대위 구성을 둘러싸고 계파간 갈등이 예상돼 민주통합당과 현 지도부로선 '사면초가'에 빠진 상황이다.
다만 현 지도부가 사퇴할 경우 통합진보당과의 연결고리가 끊어지며 향후 정국 주도권을 잡아나가는 데 한계가 있을 수 있어 비대위 체제 전환이라는 극한상황까지는 안 갈 것이라는 의견도 있다.
특히 새 지도부가 출범한 지 3개월 만에 사퇴할 경우 국민적 불신과 무관심이 더욱 커지는 한편, 혼란이 가중될 수 있다며 현 체제를 유지하자는 목소리도 적잖은 것으로 전해졌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