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는 올해부터 ‘주택가 주차난 완화대책’을 본격 추진해 이웃간 분쟁을 야기하는 등 각종 사회적 문제를 일으키고 있는 주차난을 완화해 나가겠다고 17일 밝혔다.
현재 시 전체 주택가 평균 주차장 확보율은 명목상 96.6%이지만 아파트를 제외한 주택가의 주차장 수급율은 60% 이하로 주차환경이 상대적으로 열악한 실정이다.
시는 우선 39개소 지정에 머무르고 있는 '주차환경개선지구'를 오는 2014년까지 265개소로 늘릴 계획이다.
또 도시형 생활주택 주차기준을 전용면적 60㎡당 1대에서 최고 30㎡당 1대까지 강화하는 방안을 검토한다.
지난 96년부터 추진해오고 있는 도로, 공원, 학교 등 공공시설의 지하공간 등을 활용, 주차장을 확대하는 사업도 지속 추진한다. 이럴경우 2014년까지 총 28개소 4336면을 추가 공급할 수 있을 것으로 시는 내다봤다.
시는 자투리땅 등 주택가 유휴지를 주차공간으로 활용하는 방안도 추진키로 했다. 이를 위해 시는 올해 총 3억원을 투입, 광진 30면, 마포 35면, 용산 52면 등 21개소 150면을 우선 확보하고 2014년까지 81개소 총 550면을 확보해 주차장으로 공급할 계획이다.
특히 시는 근본적인 주차난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차고지가 없을 경우에는 차량을 등록할 수 없도록 차량 소유주의 차고 확보를 의무화’하는 차고지 증명제, 카쉐어링 등의 도입도 검토해 나갈 방침이다.
윤준병 서울시 도시교통본부장은 “재정여건이 열악한 자치구는 자체적인 주차장 확보가 어려운 점을 감안해 시가 나서게 됐다”며 “장기적으로 서울 시내 주택가 어디서나 주차하기 편한 환경을 만들어 나가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