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민간협의체는 한국한약산업협회, 한국한약도매협회 등 관련 협회 임원 등 총 18명이 자발적으로 구성한 협의체로, 5월부터 본격적으로 활동할 예정이다.
민간협의체 주요 기능은 한약재판매업소·한약재제조업소 등을 대상으로 △현장 방문 및 신규제도 설명 △교육물 배포 등이다.
다음달부터는 서울 제기동 등 한약재 판매업소, 제조업소 등이 밀집해있는 지역을 중심으로 집중 지도 및 계도 활동을 벌일 계획이다.
서울식약청은 이번 협의체 구성 및 운영을 통해 엄격한 제조·품질관리를 거친 한약재만 국내에서 유통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될 것으로 기대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