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 위원장은 29일 YTN라디오에 출연해 "북한인권법 제정 같은 식으로 정치적으로 비난하거나 압박하는 방식으로 실질적인 인권개선의 효과가 있겠느냐"며 이같이 밝혔다.
이어 “그보다 실질적인 개선을 유도하는 협력과 지원에 방점을 두는 것이 보다 지혜로운 태도”라고 강조했다.
당내 행사에서 애국가 제창 여부가 논란이 되는데 대해선 "마치 국민의례를 하느냐 안하느냐가 대한민국의 국체를 인정하느냐 안 하느냐로 비화되는 것 같다”며 “유럽 같은 다른 나라의 진보정당 행사에서 국기에 대한 경례나 애국가 제창 같은 공식적 국가의례를 한다는 사례를 알고 있지 않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저희는 저희에게 다른 국가가 있기 때문에 국민의례를 하지 않는게 아니다”며 “국민의례가 갖는 국가주의적 속성, 군사독재 성격의 잔재가 있어서 지금까지 안 했던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석기·김재연 비례대표 당선자에 대한 제명 방침이 바뀔 수 있느냐는 질문에는 “이미 당기위원회에 회부됐고 절차가 진행 중이므로 입장이 변경될 리 없다”고 일축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