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박정수 기자= 금융당국이 자투리펀드 구조조정에 나섰으나 그 성과는 지지부진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3일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설정 후 1년이 경과한 공모(추가형)펀드 가운데 원본이 50억원 미만의 소규모펀드는 총 943개로 집계됐다. 지난해 말 1007개에서 64개 줄어든 것으로 불과 6%만 줄었다.
금융위원회는 지난 2011년 6월부터 금융투자협회를 중심으로 중장기적인 소규모펀드 해소 계획을 수립하는 등 투자자 보호를 위해 소규모펀드 정리를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고 있으며 금융위·금감원은 필요한 제도적 지원방안을 지속적으로 강구해 나가고 있다.
이에 오는 2014년까지 단계적으로 공모(추가형)펀드 대비 소규모펀드 비율을 10% 수준으로 인하하고 올해 중으로 약 340개의 소규모펀드를 해소할 계획이다. 그러나 올들어도 아직까지 100여개도 채 줄이지 못했다.
이에 대해 금투협 관계자는 "올해 초 금융위에서 자투리펀드 해소를 추진하겠단 결단을 내렸으나 투자자의 반발에 급격히 줄일 수는 없었다"며 "계속적으로 줄여는 나가고 있으나 새로이 설정되는 펀드도 있어 결과적으로 큰 변화를 줄 수는 없었다"고 설명했다.
올해 들어 공모(추가형)펀드는 1월에는 14개가 신규 설정됐으며 2월에는 15개, 3월 19개로 평균 매달 16개 가량이 설정됐다. 이 신규펀드들의 설정액 50억원이 넘지 못하면 또 다시 소규모펀드가 증가하는 것이다.
금융당국에서는 최소거래단위가 일정금액 이상인 투자자산(채권 등)의 경우, 소규모펀드에서 효율적으로 운용하기 곤란해 분산투자 효과를 거두는데 한계가 있고 운용사의 경우 소규모펀드 운용과정에서 관리를 소홀히 할 가능성이 있어 해소를 추진하고 있으나 여전히 소규모펀드는 불어나고 있다.
금투협 관계자는 “업계에서는 소규모펀드를 줄여 나가려 노력은 하고 있으나 여전한 증시 불확실성에 설정액 증가를 보이고 있지 않다”며 “궁극적으로 해소할 수는 없지만 투자자보호를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해 나가고 있다”고 전했다.
금융위 관계자는 “소규모 펀드가 설정 1년이 지나면서 자연발생되는 부분이 있어 목표비율을 0%로 정하지 못했다”며 “기존의 소규모 펀드를 단계적으로 줄이는게 우선으로 올해 목표치 30%는 충분히 달성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반면 한 증권사 연구원은 “실질적으로 강제로 해소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당장의 효과를 보긴 힘들 것”이라며 “향후 판매사들이 적극적으로 수용하느냐가 관건”이라고 판단했다. 이는 해지 결정권을 가진 판매사가 고객들에게 환매를 요구할 경우 민원이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그는 이어 “증시에서도 일부 업종이 강세를 보이듯 펀드 또한 다를 바 없다”며 “설정액 증가가 부진한 펀드는 수익률 관리가 힘들기 때문에 투자자들의 주의를 요한다”고 조언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