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말 백화점 교통혼잡은 이제 옛말"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2-07-09 17:30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아주경제 홍성환 기자= 지난 주말 서울 시내 주요 백화점 지하주차장은 비교적 한산했다. 주차장 진입을 위해 1~2시간씩 기다리던 풍경은 어디서도 찾아볼 수 없었다. 주말이면 발디딜 틈이 없었던 행사매장에서도 여유를 느낄 수 있을 정도였다.

이날 백화점을 찾은 조모씨(서울)는 "주말에 백화점 지하주차장에서 자리를 한 번에 찾은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며 "주차장에 진입하기 위해 길에서 상당 시간을 소비했는데 정말 불황이 맞는 모양이다"라고 전했다.

유통업계가 사면초가(四面楚歌)에 빠졌다. 꽁꽁 얼어붙은 소비심리가 풀릴 줄 모르는 가운데 규제까지 발목을 잡고 있는 상황이다. 내수 부진은 자영업자들까지 위기에 빠뜨렸다. 빚은 늘어가고 소득이 변변치 않으니 연체율만 상승곡선을 그리고 있다.

◆ 유통업계 하반기에도 어렵다

유통업체들의 근심이 깊어지고 있다. 하반기에도 어려운 상황이 이어질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백화점업체들은 파격적으로 여름 정기세일을 한 달로 늘렸지만 성적이 신통치 않은 모양새다.

9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국내 주요 대형백화점은 이번 여름 정기세일 기간 중 매출이 기존점 기준 전년 대비 0.7~6.0%가량 늘어나는 데 그쳤다. 백화점 관계자는 "올해 들어 매출 부진이 지속됐기 때문에 이 정도면 양호한 수준"이라며 "조금씩 나아지기를 바랄 뿐"이라고 전했다.

정부의 규제까지 유통업체들을 압박하고 있다.

공정거래위원회는 최근 대형 유통업체들에 대해 판매수수료를 추가로 인하하라고 요구했다. 공정위는 백화점·대형마트 관계자들과 만나 구체적인 인하폭까지 제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대형마트는 더 죽을 맛이다.

판매수수료·입점 금지·영업시간 제한 및 의무휴업일 등 모든 규제의 칼끝이 대형마트를 향해 있기 때문이다. 최근 법원의 판결로 의무휴업일 영업이 가능해진 점포는 있지만, 관련 조례를 무효화시키기는 역부족이란 관측이 지배적이다.

실제 강동·송파구의 경우, 조례의 적합성 여부가 아닌 절차적인 문제를 제기한 것이고, 각 법원의 해당 조례 집행정지를 인용한 것도 재판이 끝날 때까지 당분간 조례 시행을 중단한 것뿐이기 때문이다.

편의점들도 규제에서 자유롭지 못한 상황이다.

공정위가 올해 안에 편의점 간의 거리제한을 추진하겠다는 뜻을 밝혔기 때문이다. 현재 편의점 업체들은 내부규정을 통해 50m 이내 중복 출점을 자제하고 있다. 공정위는 이 같은 수준의 거리제한을 권고가 아닌 의무화하겠다는 뜻을 이미 해당 업체들에 전달한 상태다.

편의점 관계자는 "제주도와 서울을 비교하면 상권에서 차이가 나는데 동일한 기준을 갖고 신규 출점을 제한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며 "서울의 경우, 상권에 따라 50m 이내 점포를 개설해도 충분히 경쟁력이 있다"고 항변했다.

◆ 자영업자들이 더 어렵다

내수 부진에 자영업자들도 울상이다.

대출은 늘어만 가는데 빚을 갚을 여력은 줄어들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 올해 들어 5월까지 자영업자 대출은 164조8000억원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6조3000억원 늘어난 것이다.

하지만 경기침체가 이어지면서 연체율도 함께 상승하고 있다. 자영업대출 연체율은 5월 말 현재 1.17%로 작년 말보다 0.37%포인트 증가했다. 또 올해 들어 5월까지 국세청에 폐업신고한 기업은 5819곳으로 작년(5217곳) 대비 602곳이나 늘었다.

남대문시장의 경우 하루 평균 35만명이 다녀갈 정도로 사람이 넘치던 시절이 있었지만 지금은 그 절반에도 못 미치는 수준까지 손님이 줄었다.

한 시장 상인은 "매출이 작년보다 반토막이 났다"며 "앞으로 어떻게 살아야 할지 고민이 많다"고 푸념을 늘어놓았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