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쟁점은 △논문 표절 △아들 병역 혜택 △부동산 투기 의혹 등이었다.
민주통합당 진선미 의원은 "학술단체협의회의 소견서에 따르면 타인 논문 베끼기, 자기 논문 짜집기 등 중대한 표절 유형으로 판단된다"며 논문 표절 의혹을 제기하는 한편 "2001년에 300만원의 연구비를 받은 뒤 연구기간이 지나서야 논문을 발표했다"고 포문을 열었다.
이에 현 위원장은 연구기간내 논문 작성을 마치지 못한 점은 인정하면서도 인용과 관련해선 "(논문 발표 이후인) 2004년에 인용에 관한 규정이 생겼다. 표절 의혹을 받는 논문은 그 이전에 쓴 것"이라며 적극 해명에 나섰다.
새누리당 김기선 의원은 "아들이 고3때 100kg던 체중이 1년 만에 13kg을 늘려서 법무청 신체검사 결과 4급 판정을 받았다"며 "수차례에 걸친 병역연기 사유도 석연치 않다. 의도적이다"라고 지적했다.
현 위원장은 "아들이 초등학생 때부터 과체중이었고 건강상 관리 후 재수할 때 다시 살이 쪘다"면서 "첫 신체검사와 재검을 받을 때 몸무게가 113kg으로 같아 공익 판정을 받았다"고 답했다.
용산참사 관련 질의도 쏟아졌다.
민주통합당 장하나 의원은 "조사 결과 점거농성 중에 기본적인 생존수단 제공하지 않은 점을 확인했다”며 “이는 명백한 인권침해”라고 발언했다.
이와 대해 현 위원장은 "사실이 아니다. 안에서 문을 잠가 들어갈 수조차 없었다"고 진술했고, 그러자 방청석에서 앉아있던 용산참사 유족들은 “사실을 말하라”고 언성을 높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