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재정부가 24일 발표한 ‘2분기 공공기관 유연근무제 추진실적’을 보면 전체 288개 공공기관 가운데 69.1%인 199개 기관에서 유연근무제를 활용했다.
이 제도를 활용하는 직원은 2만4000명으로 해당 공공기관 직원의 8.2%를 차지했다. 다만, 한 사람이 두 가지 이상 유연근무제를 활용해도 중복으로 계상되기 때문에 실제 인원은 이보다 적은 것으로 추정된다.
유형별로는 탄력근무제가 1만6천400명(5.6%)으로 가장 많았다. 이 제도는 주 40시간 근무하되 출퇴근 시각, 근무시간, 근무일을 자율적으로 조정하는 것이다.
탄력근무제 가운데 1일 8시간 근무체제는 유지하면서 출근시간을 조정하는 시차출퇴근형은 160개 기관에서 1만5천300명(5.2%)이 활용했다.
주 40시간보다 짧은 시간을 근무하는 시간제근무를 활용한 직원은 6200명(2.1%)이었고 정보통신망을 이용해 사무실 밖에서 근무하는 원격근무제는 1400명(0.5%)이었다.
지난 1분기와 비교하면 유연근무 활용기관 수는 16개(8.7%) 늘었고 활용 직원 수는 7104명(42.1%) 증가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