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 최고위원은 이날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이번 대선이 3자 구도로 갈 수도 있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그는 “안철수 연구소, 안철수 재단, 안철수 생각 등 모든 것에 안철수라는 표현을 넣는 것을 보면 그는 자신의 브랜드 의식과 자아정체성이 강한 사람”이라면서 “그런 사람이 대선에 나선다면 그 정당은 ‘안철수 정당’이 돼야 하고 대선에서 이기면 ‘안철수 정권’이 돼야 한다는 의식이 작용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어 “민주통합당에 ‘안철수 불쏘시개론’이 있음을 본인도 알 것”이라면서 “안 원장이 야권 단일화에서 이긴다 해도 자신의 활동 공간에 대한 의지와 정치 현실 사이에서 고민에 빠질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단일화하면 자신의 모든 것을 걸어야 하는데 민주당의 역량이나 지지기반이 그렇지 못하다는 것도 본인이 잘 알 것”이라면서 “따라서 안 원장이 독자적인 정치공간을 확보하는 게 효과적이라고 판단 하에 독자출마할 가능성도 염두에 둬야 한다”고 설명했다.
정 최고위원은 “간과해서는 안 될 것이 그의 대선 출마에 대해 많은 국민이 불안해하고 있다는 것”이라면서 “대통령의 역할이 막중한데 안철수와 함께하는 정치 세력이 없고 국정경험이나 국정철학이 없다는 점이 불안하다”고 지적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