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통 중국 내 정치행사가 열리는 3월이나 10월엔 선물·접대용 명품 소비가 급증하기 마련이지만 최근 중국 내 반(反) 부패정서가 고조되면서 오히려 명품 수요가 감소할 것이란 분석이다.
특히 중국인의 3분의 2 이상이 선물용으로 구입하는 명품시계, 보석류 브랜드 소비가 급감할 것으로 보인다. 한 유명 명품시계 브랜드 관계자는 "18차 당대회가 끝나고 난 뒤에야 고가 명품선물에 대한 수요가 되살아날 것"이라며 "현재 명품 브랜드들이 리스크 분산을 위해 중국 중소도시로의 판매 네트워크 확장 등 대책마련에 고심 중"이라고 설명했다.
사실 중국은 빠른 경제성장에 따른 부의 증대로 각광받는 명품시장으로 떠올랐다. 세계 명품업계는 전 세계 경기 불황 속에서도 중국 명품소비에 힘입어 호황을 누려왔다.
그러나 최근 들어 잇딴 고위관리직 부정부패 등으로 중국 내 사치품 소비에 대한 서민들의 불만심리는 고조된 상태다. 실제로 지난 3월 양회(兩會 전국인민대표대회 중국인민정치협상회의) 개최기간 인터넷상에 다수의 정협위원들이 명품 정장, 시계 등을 착용하고 회의장에 입장한 사진이 공개되면서 중국 네티즌의 반발을 샀다.
이에 중국 원자바오(溫家寶) 총리가 "부패는 국가 최대의 위험”이라며 부패에 대한 강경한 메시지 던졌다. 이후 공무원들의 명품소비가 금지되고 공무원들의 소위 ' 3공(公) - 접대, 출장, 공무용 차량'에 대한 과도한 지출을 금지하는 방안도 등장했다. 게다가 10월 개최될 18차 당대회에서는 10년만에 정권교체를 앞두고 있어 중국 정부의 부패방지 및 명품수요 억제책은 당분간 지속될 전망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