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일(현지시간) 파이낸셜타임스(FT)에 따르면 미국 연방수사국(FBI) 경제 범죄국의 제임스 버나클 국장은 “올 9월 30일까지 전국적으로 FBI의 신규 내부자 거래 조사 건수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43% 증가했다”고 밝혔다.
미국 맨해튼 지역에서만 지난 2009년 이후 헤지펀드 트레이더, 회사 내부자와 컨설턴트 등 72명이 내부자 거래 혐의로 기소됐다. 지난 2월 FBI 요원들은 뉴욕에서만 300명이 내부자 거래로 조사를 받고 있다고 말했다.
FBI는 내부자 거래 조사 성과를 높이기 위해 관계 기관과 뉴욕 월가 내부자와의 협조도 강화하고 있다. 버나클 국장은 “FBI는 내부자 거래에 대한 조사를 더욱 원활히 하기 위해 FINRA(Financial Industry Regulatory Authority, 미국증권업계 자율규제기구)와 SEC(Securities and Exchange Commission, 미국 증권거래위원회)로부터 정보를 얻고 있다”고 말했다.
미국 당국은 월가 내부자의 협조도 확보했다고 FT는 전했다. 필요한 경우 도청장치를 통해 사적인 통화를 도청하거나 법원의 영장을 받고 통화기록도 압수하기도 한다.
내부자 거래에 대한 기소 여부는 내부자 거래의 정도와 내부자 거래를 통해 불법적으로 조성된 자금 규모에 따라 결정된다. 내부자 거래 조사는 헤지펀드의 각종 기술주 거래로까지 확대된 상태다. 기술주에 대한 조사는 생물공학주와 제약주가 주된 대상인데 중요한 신약 개발 발표와 기술주 인수ㆍ합병 발표 등에 따라 주가가 요동치고 있는 것에 대해 FBI는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미국 법원도 불법 내부자 거래에 대해 중형을 선고하고 있다. 지난해 10월 미국 맨해튼 소재 연방법원은 내부자 거래 혐의로 기소된 헤지펀드 갤리온 펀드의 창립자인 라즈 라자라트남에 대해 징역 11년형을 선고했다. 이와 함께 1000만 달러의 벌금과 5억3800달러 규모의 재산압수 명령도 내려졌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