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10일 정부과천청사에서 박재완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위기관리대책회의’를 열고 공공기관의 해외진출 경쟁력을 높이고 인프라를 강화하는 내용의 ‘공공기관 글로벌 역량 강화방안’을 심의·의결했다.
이에 따라 해외 진출을 추진하는 공공기관은 수출입은행 등의 지원을 받아 중장기 해외진출 전략을 수립하고 마케팅 등에 정통한 해외 전문 직위 운영을 강화하는 한편 전문 인력 확보에 나서야 한다.
정부는 공공기관의 해외사업 위험 관리를 위해 공공기관이 ‘해외사업 리스크관리위원회’의 심의를 받도록 하고, 해외사업 경험이 많은 공기업의 리스크관리 모범 사례를 발굴, 전파할 방침이다.
또 정책금융기관 실무협의회를 통해 공공기관에 대한 공동 금융지원을 추진하고, 해외 사업 경험이 부족한 공공기관에 대해서는 수출입은행이 금융컨설팅을 제공키로 했다.
특히 도로·상하수도·철도 등 공공기관의 주요 해외진출 사업을 대외경제협력기금(EDCF) 중점 지원사업으로 발굴하고,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 등 유관기관 협력을 통해 국제기구 조달시장 진출에 유망한 공공기관을 선정, 단계별 지원을 추진키로 했다.
아울러 공공기관의 해외진출 유망 분야와 관련된 KSP를 공공기관의 수주로 연계시킬 방침이다.
공공기관의 공적개발원조(ODA)에 대한 참여 인식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로, 상하수도, 철도 등 공공기관의 주요 해외진출 사업을 대외협력기금(EDCF) 중점 지원사업으로 발굴하기로 했다. 공공기관의 해외진출 유망분야와 연계해 공공기관의 ‘경제발전경험공유사업(KSP)’ 사업 참여를 확대할 계획이다.
재정부는 “정부는 향후 공공기관 글로벌 역량 강화 방안을 차질없이 추진함으로써 공공기관의 국제경쟁력을 강화하고 민간부문 지원 기능을 내실화 할 수 있는 기반을 구축해 나갈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