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C는 3개 오피스동과 1개 호텔동으로 구성됐다. 서울시는 지난 8월 오피스1 개장시 선임대율 76.6%를 들며 외국기업 유치실적을 내세운 바 있다.
18일 국회 국토해양위원회 소속 민주통합당 이윤석 의원이 시에서 제출 받은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내달 전면 개장되는 IFC 오피스 2(55층)는 선임대율이 8.7%, 오피스 3(29층)은 0%로 저조하다.
이 의원은 “3개 오피스동 전체에 입주하거나 입주예정인 금융사는 24개사이며, 국내업체를 제외하면 외국업체는 16개뿐”이라고 꼬집었다.
그는 “서울시가 외국기업 유치를 위해 해외설명회를 수차례 했음에도 임대율이 저조한 것은 IFC의 운영전략에 차질이 생길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IFC는 시에서 부지를 99년간 제공하고 AIG가 운영해 시에 임대료를 지급하는 방식으로 설립됐다.
시는 국내 공공기관 최초로 IFC에 99년 임대보장을 약속했다. 또 계약개시일인 2006년부터 공사가 끝나는 2010년까지 임대료를 면제했으며, 운영개시 후 2017년까지 7년간은 공시지가의 1%만 임대료로 받고 나머지는 2018년에 정산하도록 했다.
이에 올해 4월 처음으로 2011년 임대료로 공시지가의 1%인 30억5000만원을 징수했다. 시는 전체 임대료가 98억원에 이를 것으로 추정하고 있지만, AIG와 추후 정산을 해봐야 정확한 금액을 알 수 있다는 입장이다.
계약조건에 따르면 최초 10년간 매각할 수 없다는 조건만 있어 계약개시일인 2006년부터 10년이 지난 2016년부터는 언제든지 운영권과 건물매각이 가능하다.
이 의원은 “서울시는 IFC를 통해 당초 정책목표였던 동북아 금융허브 조성을 달성하지 못한 것은 물론, 임대료 수입도 정확히 보장받지 못했다”면서 “2016년부터는 AIG의 운영권과 건물 매각도 가능해 ‘먹튀’ 가능성이 있다”고 질타했다.
그는 “최초 정책목표를 상실한 IFC에 대해 지속적인 특혜를 제공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면서 “계약변경이나 AIG의 외자나 외국기업 유치를 강제할 방안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IFC에는 사업비 1조5140억원이 들었다. 국내 14개 대주단으로부터 1조600억원을 차입했으며 4540억원은 해외펀드로 조성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