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열하는 野> 야권 단일화 결국 깨지나?… 후폭풍 우려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2-11-22 18:49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아주경제 박성대 기자= 민주통합당 문재인 후보와 무소속 안철수 후보가 22일 전격적인 단독 회동에서도 ‘룰 협상’에 대한 아무런 결론을 내리지 못함에 따라 야권 단일화가 무산될 위기에 처했다.

특히 두 후보는 ‘양측 지지자들이 100% 결집하는 단일화’를 다짐했지만 협상 파열음이 커지면서 오히려 지지층 이탈까지 걱정해야 하는 지경이다.

이뿐만이 아니다. 두 후보가 내세웠던‘아름다운 단일화’와 거리가 먼 신경전이 며칠째 계속되면서 단일화 후유증마저 우려되고 있다.

22일 문·안 두 후보의 캠프에 따르면 후보들은 이날 오전 10시30분부터 비공개로 회동을 갖고 1시간여동안 단일화 방식과 룰을 둘러싸고 접점을 찾았으나 끝내 합의에 이르지 못했다.

두 후보는 이날 정오께에 회담을 종료했으며, 또 다시 만날지 여부도 정하지 못한 것으로 전해졌다.

문 후보 측 박광온 대변인은 “두분 회동에서 성과가 없었다. 한걸음도 이견을 좁히지 못했다”고 말했고, 안 후보측 유민영 대변인도 “성과가 없었다. 한걸음도 이견을 좁히지 못했다”고 밝혔다.

사실 두 후보의 룰 협상 결렬은 사전에 어느정도 예측 가능했던 사안이다.

지난 21일 밤 열린 TV토론회에서 문 후보는 안 후보에게 “제대로 보고를 받지 못하고 있는 것 아니냐”며 공세를 폈고, 안 후보는 “박근혜 새누리당 후보를 이기는 후보”만을 강조하며 맞섰다. 양측은 TV토론 중 단일화에 대해선 평행선만을 이어갔다.

예상대로 두 후보의 단독 회동이 이렇다할 결과를 끌어내지 못하게 되면서, ‘후보 등록 전 단일화 약속’은 지켜지지 못할 가능성이 높아졌다.

두 후보는 지난 6일 단일화 합의 7개 조항을 발표하면서 ‘후보등록일 전 단일화’를 약속 한 바 있다. 후보등록일은 오는 26일 마감이다.

후보 등록일 전 단일화에 실패하더라도 두 후보가 모두 본 후보로 등록한 후 단일화 협상을 진행할 가능성도 있다. 하지만 투표용지에 두 후보 이름이 동시에 오를 경우 대량 사표 발생 등 단일화 효과를 충분히 누릴 수 없어 단일화 효과를 크게 누릴 수 없게 된다.

야권 단일화가 이처럼 무산될 가능성이 점차 높아지면서 이번 대선이 박근혜 새누리당 후보, 문 후보, 안 후보간 3자대결로 치러질 공산도 더불어 커진 상황이다.

3자 구도로 전개될 경우, 다수의 정치전문가들은 박 후보에게 압도적으로 유리할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물론 정치권에서는 여전히 두 후보의 막판 단일화 합의에 무게를 두고 있는 상황이다. 단일화가 무산된 후 3자 대결 시 박 후보가 승리할 경우, 문·안 후보는 야권 패배의 책임을 둘러싸고 엄청난 후폭풍에 직면할 수 밖에 없기 때문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