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 후보가 당 대선 후보로 선출된 직후만 해도 중도층을 공략하겠다는 전략이었으나, 지난 9월 과거사 논란 이후 보수층 결집에 주력해왔다.
국민대통합의 기치 아래 고 노무현 전 대통령의 묘역 방문, 김종인·안대희 등 외부인사 영입도 모두 이 같은 중도층 공략의 일환이었다.
박 후보 측은 자유선진당 이회창 전 대표의 지지로 보수층 결집에 방점을 찍었다고 판단, 무소속 안철수 전 후보의 갑작스러운 후보사퇴로 늘어난 부동층 끌어오기 위해 정치쇄신과 생활밀착형 민생정책으로 승부수를 띄운다는 전략이다.
우선 이를 위해 안 전 후보 이탈층 가운데 정권교체보다는 이른바 ‘새정치’에 기대를 걸었던 중도보수 성향의 유권자를 겨냥할 것으로 보인다.
새누리당은 26일 야권 후보 단일화 과정에서 룰을 고집한 민주통합당 문재인 후보 측을 ‘정치쇄신을 거부한 세력’으로 몰아갔다.
안형환 선대위 대변인은 이날 여의도 당사 브리핑에서 “이번 선거는 미래준비 세력 대 과거 회귀 세력의 대결”이라고 규정한 뒤 “민주당을 장악한 세력은 과거로의 회귀, 이른바 ‘노무현 시대’로의 회귀를 갈망하고 더 나아가 복수를 준비하고 있다”고 공세를 폈다.
정치쇄신과 더불어 박 후보는 ‘긴급조치로 인한 피해자 명예회복 및 보상 등에 관한 법률안’을 공동 발의하는 등 자신의 아킬레스건인 과거사 문제에도 선제적으로 대응하겠다는 의지를 분명히 했다.
유신헌법 제53조에 규정된 초헌법적 권한인 긴급조치는 반유신세력 탄압도구로 악용된 법안 중 하나로 의원신분으로서 마지막 법률안을 스스로 ‘결자해지’한 셈이다.
그러면서 박 후보는 ‘민생 후보’를 내세워 전국을 누빌 예정이다.
이 과정에서 중도층과 무당파를 흡수하기 위해 그동안 발표한 가계부채, 사교육 경감 등 민생공약과 그 실천가능성을 강조할 계획이다.
문 후보에 대한 검증공세도 더욱 강화될 전망이다.
박 후보 측은 문 후보가 ‘실패한 노무현 정부의 중심인물’이라는 점과 부산저축은행 뇌물 수수 의혹 및 아들 특혜채용 의혹 등 그동안 제기된 문제들에 대해서 강도 높은 검증을 병행해 나갈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당내에서는 ‘안철수표 공약’을 선별적으로 수용하는 방안도 거론되고 있다.
안대희 정치쇄신특별위원장은 안 전 후보의 정치쇄신안에 대해 “안 전 후보와 70~80%가 비슷한 방향”이라며 “여러가지 근본적인 차이를 제외한 몇 가지 정치쇄신안은 방향이 같기 때문에 검토 중에 있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