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선국 경제부 기자 |
과연 '농림에 식품이 포함된다'는 말을 이해하는 사람은 얼마나 될까.
도대체 누가 국가의 안보(식량)를 다루는 '농림수산식품부'가 두려워 1차산업적 구분으로 갈기갈기 찢어놓은 것인가. 왜 농림축산부라 명명해 '농축부', '엑기스부'가 되어야 한단 말인가. 이런 농정방향과 계획 등을 만든 사람은 누구인가. 누군가가 수산과 식품을 가져가는 게 양심에 걸려서일까.
지난 2008년 농림수산식품부가 출범하고, 식품산업 진흥 업무를 관장하면서 많은 변화가 일어났다.
5년간 생산위주의 농업이 식품과 어우러지면서 농림수산식품의 수출은 2007년 38억 달러에서 2012년 80억 달러로 5년간 두 배이상 늘었고, 국가식품클러스터를 통해 동북아 식품허브의 밑거름을 만들어 가고 있다. 또 IT·BT·CT 등의 첨단 기술과 만나 '미래의 생명산업', '6차 산업'으로 떠오르고 있다.
관련분야의 모든 이들은 이름 하나로 좋은 변화를 거둔 농식품부가 새정부에서 농생명식품부·농생명미래부 등 밝은 비전을 담은 부처가 탄생하길 원했다. 그러나 새 정부가 '농림축산부'라는 이름으로 활동범위를 줄여놓고, 생산 위주의 과거형 농림부로 만들 준비를 하고 있다.
단지 쌀 10kg 가격이 2만원인 이 쌀을 '햇반'으로 만들면 10만원, 떡으로는 12만5000원, 술로는 21만3000원이 나오는 것처럼 농업은 식품산업과 연계하며 고부가가치화를 추구할 때 시너지가 높아진다.
불량식품 척결 등 규제는 식품의약품안전처가 하고, 식품산업 진흥업무는 농식품부가 그대로 하면 되는 데 단순한 1차원적 개명이 필요할까. 밝은 미래로 나아가지 못할 지언정, 어두운 과거로 돌아가지 말자.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