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 한 중진 의원은 3일 "안 위원장에 대한 사전검증이 시작된 것으로 안다"며 "박 당선인이 법치를 강조하고 있는 상황에서 안 위원장이 갖춘 청렴성은 도덕적 검증에서 자유로울 수 있다"고 말했다.
지난해 대선 직후 일본과 미국 등에 머물던 안 위원장도 지난달 30일 새벽 귀국했다. 이 때문에 박 당선인 측이 안 위원장에게 총리직을 제안한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검사 출신으로 대법관을 지낸 안 위원장은 검찰개혁, 대통령 측근 감시 등 박 당선인의 정치쇄신 공약을 주도적으로 만들었다. 검찰개혁을 바라는 야권에서도 별로 거부감이 없는 인물이다. 실제 대법관 당시 인사청문회를 통과했기 때문에 야권의 현미경 검증에서 상대적으로 자유롭다.
그러나 법조계 외에 다른 분야에 업무경험이 없어 각 부처 업무를 조정하고 총괄하는 책임총리로서 자질이 충분한지는 의문이라는 평이다. 민주통합당 한 의원도 "만약 안 위원장이 총리후보가 된다면 도덕성 검증보다는 업무수행 능력에 초점이 맞춰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런 가운데 김장수 대통령직 인수위원회 외교안보분과 간사, 정홍원 전 새누리당 공천심사위원장 등이 새로 총리후보군에 포함됐다는 말도 나온다.
'꼿꼿 장수'로 불리는 김 간사는 북한의 핵심험 등 한반도 위기상황에 대응한다는 차원에서 거론되고 있다. 또 정 전 공심위원장의 경우 관리형 총리로서 적임자라는 평가가 여권 내부에서 나오고 있다.
이제 관심사는 박 당선인이 총리후보자를 언제 발표하느냐다. 박근혜 당선인측 핵심 관계자는 "4일까지 발표하는 게 목표지만 자신이 없다"고 말했다.
청와대 관계자도 "아직 협조 요청이 없다"며 "지금 요청이 와도 검증에 시간이 걸려 4일까지 발표하기가 어렵다"고 했다.
이에 새누리당 일각에서는 충분한 시간을 갖고 총리 인선작업을 해야 한다는 의견이 많다. 시간에 쫓기지 말고 충분한 사전검증을 해 국회를 통과하는 후보를 찾아야 한다는 것이다. 지난달 31일 박 당선인과 당 지도부 회동에서 이런 속도조절론이 건의됐고, 박 당선인도 반대하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여권 핵심 관계자는 "총리후보로 사람만 좋으면 설 연휴 직후인 12일까지 인선해도 충분하다"며 "일주일 안에 청문회를 마무리할 수 있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