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희스타힐스

안구질환의 주범 스마트폰, 장시간 사용 안구건조증 부추긴다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3-04-08 09:00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아주경제 강규혁 기자=스마트폰이 사용자들의 안구질환을 부추기고 있다.

8일 아이언스안과는 내원 환자의 30% 이상이 안구건조증·청년노안·가성근시 등 스마트폰 관련 안구질환을 호소해 병원을 찾고 있다고 밝혔다.

국내 스마트폰 사용자는 약 3300만명으로 추산된다. 그 중 20대의 스마트폰 사용률은 94%, 30대도 84%에 달한다.

성장기이자 스마트폰 게임에 대한 관심이 높은 10대의 스마트폰 사용률도 76%에 달해 관련 안구질환은 앞으로 늘어날 것이라는 전망이다.

스마트폰은 액정이 작아 눈에 많은 무리를 준다. 또 흔들리는 차안이나 밝은 실외에서 많이 사용하게 되는데, 하루 2~3시간 작은 액정화면을 통해 게임에 몰두하거나 드라마를 시청하다 보면 눈의 깜박임이 평소보다 40%나 줄어 '안구건조증'에 걸리기 쉽다.

특히 4~5월은 대기가 건조하기 때문에 장시간 스마트폰을 사용한 후 눈이 따갑고 뻑뻑한 느낌이 들면 안구건조증을 의심해봐야 한다.

최근 5년 간 2배 이상 증가한 30대 '청년노안' 역시 스마트폰의 영향이 크다고 병원 측은 설명했다.

스마트폰처럼 가까운 거리의 화면을 집중해서 보면 수정체 두께를 조절하는 모양체 근육이 장시간 긴장 상태로 있게 돼 모양체 기능이 떨어지고, 수정체 조절이 안돼 청년노안으로 악화된다.

때문에 전문가들은 20분간 스마트폰을 사용했으면 20~30초 가량 10미터 이상 떨어진 나무나 먼 곳을 바라보면서 의식적으로 눈의 피로를 풀어주는 것이 좋다고 조언한다.

좌운봉 아이언스안과 원장은 "안구건조증이 심하거나 시력이 너무 떨어지면 시술이 불가능할 수도 있다. 눈에 피로감을 주지 않도록 스마트폰을 적당히 사용하고, 인터넷에 떠도는 정체불명의 처방을 믿지말고 6개월마다 전문 병원에서 눈건강을 관리해야 한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