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3/04/12/20130412000265_0.jpg)
그가 청년시절 ‘러스 스토리’ 보따리를 풀기 시작하면, 그 이야기에 정신이 팔려 시간이 총알같이 지난다. 젊은 기자가 객기로 사장실 문을 벌컥 열고 들어가도 기자 응대를 잘 해주기로 유명하다.
작년 8월 취임 1주년 기념식 자리에서도 김 사장은 여지없이 입담을 과시했다. 이 자리에서 그가 공언한 것은 사회공헌활동 사업비를 대폭 늘려 당기순이익의 10% 수준으로 만들겠다는 것이었다.
이후 예탁원은 연이어 기부 관련 보도자료를 내며 사회공헌활동을 알렸다. 이에 공공기관의 사회적 책무가 강조되는 현 시점에 예탁원에 대한 이미지가 좋아진 것도 사실이다.
하지만 결과적으로 김 사장의 취임 이후 지난해 예탁원의 기부금은 재단에 출연한 금액을 포함해 전년에 비해 4분의 1 수준으로 내려앉았다. 이는 작년 예탁원 당기순이익의 7.8%에 불과한 금액이다. 김 사장이 사회공헌활동에 적극적인 의지를 피력했지만 그 결과는 미약했다.
예탁원은 공공기관 탈피를 희망하고 있다. 이에 김 사장은 거래소와의 소유구조 개편을 적극적으로 추진해 나가겠다고 밝힌 바 있다. 그러나 이도 물거품이 됐다.
공공기관이 일반 사기업과 다른 것은 공익활동 및 사회적 책무가 크다는 점 등일 것이다. 공공기관 수장의 말이 일반 사기업 대표의 말보다 무게가 실리는 것도 이런 이유 때문이다.
하지만 김 사장은 그간 자신이 한 다짐에 얼마나 책임을 졌는지는 의문이다. 최근 예탁원 노동조합이 김 사장의 퇴진을 강력히 요구하는 것도 이와 무관치 않을 것이다.
반절 남짓이 남은 김 사장의 재임기간 동안 자신이 한 말에 책임지는 수장의 모습을 기대해본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