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 위원장은 19일 서울 중구 태평로 금융위원회 강당에서 열린 ‘금융회사 지배구조 선진화 태스크포스(TF)’ 1차 회의에 앞서 “지주회사가 CEO의 권한 강화수단으로 이용되거나, 지주사와 자회사간 내부 권력갈등이 심화되는 부정적 모습이 적지 않다”고 밝혔다.
이어 “특정인에게 과도한 권한이 집중되거나, 적절한 선임절차가 없어 CEO 공백 시 혼란이 유발되는 상황이 발생해선 안 된다”고 덧붙였다.
CEO, 경영진, 사외이사 상호간은 물론이고 지주회사와 자회사간 바람직한 역할과 책임분담이 확립돼야 한다는 게 신 위원장의 견해다.
신 위원장은 “‘거수기’로 불리는 사외이사의 경우 주주대표성과 전문성, 다양성을 갖춰 경영진 견제라는 본연의 취지를 살려야 한다”며 “경영진은 물론 다른 사외이사로부터의 독립성도 확보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외부통제를 강화해 시장 감시에 따른 지배구조 관행 개선이 자연스럽게 이뤄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금융회사 지배구조 선진화 TF’는 6월까지 두달 동안 건전한 금융회사 지배구조 문화를 위한 방안들을 모색한다.
TF에는 금융위, 금감원 관계자와 박경서 고려대 교수를 위원장으로 박영석 서강대 교수, 구본성 한국금융연구원 연구위원, 김선웅 좋은기업지배구조연구소장 등이 참여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