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이수경 기자/인도 뉴델리= 캠코(한국자산관리공사)가 이달 말경 국제 기구와 손잡고 아시아 지역의 경제위기 극복 방안을 찾기 위한 포럼을 개최한다.
소규모이나 한국의 주도 하에 아시아 국가들과 국제적인 협의체를 만든다는 측면에서 의미가 크다는 게 캠코 측 설명이다.
4일 장영철 캠코 사장은 아시아개발은행(ADB) 총회 참석차 방문한 인도 뉴델리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ADB와 공동으로 이달 28일 서울에서 아시아 지역 국가의 공공자산관리기관과 국내 자산운용사 등을 대상으로 포럼을 연다”고 말했디.
이 포럼에는 한국과 중국, 베트남, 태국, 미얀마, 카자흐스탄, 몽골 등 7개국이 참여하며 일부 국가의 중앙은행 총재들도 참석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게르하르트 슈뢰더 전 독일 총리가 독일의 통일 후 경제 위기 극복 방안에 대한 내용으로 기조연설(Key speaker)을 할 예정이다. 사무국은 당분간 ADB 아래에 둔다.
포럼이 열리게 된 것은 지난해 4월 캠코가 베트남에서 가진 세미나가 발단이 됐다. 당시 ADB, 베트남 재무부와 함께 공동으로 연 세미나에서 참석자들이 ‘위기에 대처하는 협의체가 하나 있었으면 좋겠다’고 제안한 데 따른 것이다.
장 사장은 “이 포럼은 각국의 네트워크를 통해서 어떻게 하면 아시아의 경제위기를 극복할 것인가에 대한 대화의 장이 될 것”이라며 “국제기구와 협력해서 이 같은 방안을 모색하는 것도 하나의 창조경제라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올해의 역점 사업으로 ‘국민행복기금’을 꼽았다. 행복기금은 1억원 이하 대출을 6개월 이상 연체한 채무자 약 32만명을 대상으로 최대 50%(기초수급자 70%)까지 채무를 탕감해주고 나머지는 10년간 분할상환하도록 하는 제도다.
도덕적 해이를 우려하는 목소리에 대해 장 사장은 “행복기금은 감면을 해주는 데 포커스가 있는 게 아니고 경제활동을 하도록 해서 빚의 일부를 갚게 해준다는 관점으로 봐야 한다”고 설명했다.
그는 “자활의지를 갖고 있는데도 채무 때문에 매여있는, 이른바 함정에 빠진 사람들은 구제해 줘야 하는 것이 공동체의 의무라고 생각한다”면서 “이렇게 구제된 사람들이 결국 경제활동인구에 플러스가 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지난 1일 기금 본접수가 시작되면서 신청 대상에 영주권을 가진 외국인과 다문화가정의 국적 미취득 결혼이민자도 포함됐다. 장 사장은 이에 대해 "우리도 다문화가정을 국가 자산으로 인식해야 할 때가 왔다”면서 “대상이 그리 많지는 않을 것이나 이제는 개방적 방향으로 갈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한편 최근 건설사들의 부실과 관련한 캠코의 역할에 대해 그는 “공적 자산관리기관은 공공부문 부실을 처리하는 게 맞고 민간부문은 시장에 맡겨두는 것이 맞다”면서 “다만 민간에서 처리하지 못한 부분이 있다면 그 때는 공공부문이 처리해야 한다”고 답했다.
이와 관련해 장 사장은 “캠코가 구조조정기금으로 저축은행 프로젝트파이낸싱(PF) 채권을 인수한 것은 민간에서 할 수 없었기 때문”이라며 “공적 자산관리기관은 2차, 3차 방어망 역할을 한다”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