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 대표는 선친인 김철 전 통일사회당 당수(대표)에 이어 '부자 야당 대표'라는 기록을 세우게 됐다.
고 김 전 당수는 국내 사회민주주의 운동의 선구자로서 1961년 혁신정당인 통일사회당 창당을 주도했다.
1970년 대선에 출마했으나 당시 야권 주자였던 김대중 전 대통령을 돕기 위해 막판에 후보에서 물러났다.
특히 김 전 당수는 1975년 긴급조치 위반으로 투옥되는 등 당시 박정희 대통령과 대립했던 인물이다.
김한길 대표로서는 박정희 전 대통령과 박근혜 대통령이라는 '부녀 대통령'에 맞서 대(代)를 이어 정치적 '카운터 파트너'가 된 셈이다.
박 대통령과 김 대표 이 외에도 꽤 많은 2세 정치인들이 19대 국회에서 활동하고 있다.
새누리당 내 쇄신파 좌장격인 남경필 의원은 부친인 남평우 전 의원이 작고하면서 치러진 1998년 수원 팔달 보선에서 국회에 입성한 뒤 내리 5선을 했다.
국회 국방위원장인 유승민 의원(3선)은 13~14대 국회의원을 지낸 유수호 전 의원의 차남이며, 박 대통령의 대통령 당선인 시절 비서실장을 지냈던 유일호 의원(재선)은 고 유치송 전 민한당 총재의 장남이다.
정우택 최고위원은 5선 국회의원을 지낸 고 정운갑 전 농림부 장관의 아들이다.
민주당에서는 6일 김한길 대표의 비서실장으로 내정된 노웅래 의원이 노승환 전 국회 부의장의 아들이다.
19대 국회에 입성한 정호준 의원은 2대부터 9대까지 8선 국회의원을 지낸 고 정일형 박사의 손자이자 5선 출신 정대철 민주당 상임고문의 아들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