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일 부동산정보업체 부동산써브에 따르면 지난 10일 기준 9억원 초과 고가주택이 가장 많은 곳은 서울 강남구(4만2278가구)로 조사됐다.
이어 서초구(3만4154가구), 송파구(2만5869가구), 성남시(9511가구), 용산구(9210가구) 순으로 많았다.
서초구는 4년 전인 2009년 5월보다 고가주택 가구수가 4036가구 증가해 3위에서 2위로 올라섰다. 래미안퍼스티지, 반포자이 등의 재건축 단지들이 강세를 보인 덕분이다. 강남구는 부동의 1위 자리를 고수하고 있다.
성남시는 분당신도시 내의 고가주택 가구수가 감소했지만 판교신도시 내 고가주택이 증가하면서 순위가 5위에서 4위로 올랐다.
한남뉴타운, 용산민족공원, 용산국제업무지구 등 개발호재가 많았던 용산구는 6위에서 5위로 순위가 상승했다.
반면 송파구는 2위에서 3위로 하락했다. 문정동 삼성래미안, 문정동 올림픽훼밀리타운, 방이동 올림픽선수기자촌 등 주요 아파트들의 가격 하락으로 고가주택 가구수가 크게 감소했기 때문이다.
2009년 당시 각각 9위와 10위를 차지했던 용인시, 과천시는 10위권 밖으로 밀려났다.
용인시는 중대형 아파트값 하락으로 성복·신봉동 아파트 일부가 9억원 아래로 내려갔고 과천시는 재건축사업 지연과 정부청사의 세종시 이전 등 악재가 겹쳤기 때문이다.
한편 지방에서는 부산 해운대구가 유일하게 10위권에 진입했다. 해운대구는 주상복합 일부가 강세를 보이며 15위에서 9위로 올랐다.
조은상 부동산써브 부동산리서치팀 팀장은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부동산시장 침체가 지속되면서 고가주택은 점차 감소하고 있는 추세”라며 “하지만 4·1 부동산 대책과 개발 호재, 재건축·리모델링 포함 여부 등에 따라 고가주택 순위는 수시로 변동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