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 의원은 14일 ‘대통령의 인사’라는 제목의 책에서 “인사는 수첩이 아니라 시스템”이라며 “참여정부 인사의 최고 실세는 ‘시스템’이었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명박 정부의 ‘고소영’,‘강부자’ 인사 논란과 현 정부의 연이은 인사 파동은 시스템이 작동되지 않았을 뿐 아니라 최고 인사권자가 최소한의 인사 원칙도 지키지 않아 터진 일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참여정부의 인사시스템에 대해 “공식 인사DB(데이터베이스)와 투명한 절차를 통해 추천받은 인재를 개방적이고 공정한 시스템에 의해 검증했다”고 자평했다.
그는 그러나 “참여정부의 인사가 모두 잘되고 박수를 받은 것만은 아니었다”며 “때로는 검증 실패로 청와대가 발표한 후보가 임명되지 못한 일도, 임명된 뒤에도 여러 의혹이 불거지면서 사퇴한 일도 있었다”고 시인했다.
박 의원은 참여정부의 ‘코드인사’ 논란에 대해 “당시 야당과 보수언론이 제기한 코드인사 타령은 정치공세였다. 마치 참여정부가 전문성이 없더라도 성향만 같으면 무조건 뽑는다는 부정적인 뉘앙스를 전파했다”면서 “코드인사는 적어도 정부의 정무직 인사에서는 하나의 원칙이자 상식”이라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