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2012사업연도 기준 자산운용사 84개 가운데 28곳(외국계 8곳 포함)이 적자였다.
이 가운데 한국 시장 철수를 선언한 골드만삭스자산운용이 163억원의 당기순손실을 기록했다. 이어 에셋플러스(61억원) 더커(52억원) 피닉스(52억원) 도이치(52억원) 순으로 적자 규모가 컸다.
반대로 가장 많은 당기순이익을 낸 곳은 미래에셋자산운용으로 746억원에 달했다. 한국(363억원) KB(362억원) 삼성(324억원) 신한BNP파리바(318억원)도 순이익을 기록했다.
업계 전체의 작년 순익은 3287억원으로 전년의 3035억원보다 8.3% 늘었다. 하지만 상위 10곳의 순익(2732억원)이 전체 순익(3287억원)의 83.1%를 차지해 쏠림 현상이 매우 심했다.
작년 연기금, 보험회사 등 기관투자자의 자산운용사에 대한 투자일임 증가로 영업 규모도 크게 늘었다. 지난 3월 말 현재 영업규모는 622조원으로 작년 3월 말의 539억원보다 15.4% 증가했다. 펀드설정액이 303조원에서 335조원으로 10.6% 늘었고 투자일임액이 236조원에서 287조원으로 21.6% 늘었다.
전체 자산운용사의 평균 영업용순자본비율(NCR)은 3월 말 현재 534%로 작년 동기 대비 19%포인트 상승했다. 엠플러스가 2275%로 가장 높고 프런티어가 159%로 가장 낮다. 자본금은 1년 새 444억원이 늘어 올해 3월 말 현재 1조5543억원에 달했다.
한편 작년에 브레인, 삼성에스알에이, 에프지가 새로 생겼으며, 와이즈에셋은 업계 처음으로 인가가 취소됐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