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희스타힐스

자산운용사 3분의 1 적자… 미래에셋운용 순이익 1위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3-05-23 09:05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아주경제 유희석 기자= 자산운용사의 3분의 1 가량이 지난해 적자를 기록했다.

23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2012사업연도 기준 자산운용사 84개 가운데 28곳(외국계 8곳 포함)이 적자였다.

이 가운데 한국 시장 철수를 선언한 골드만삭스자산운용이 163억원의 당기순손실을 기록했다. 이어 에셋플러스(61억원) 더커(52억원) 피닉스(52억원) 도이치(52억원) 순으로 적자 규모가 컸다.

반대로 가장 많은 당기순이익을 낸 곳은 미래에셋자산운용으로 746억원에 달했다. 한국(363억원) KB(362억원) 삼성(324억원) 신한BNP파리바(318억원)도 순이익을 기록했다.

업계 전체의 작년 순익은 3287억원으로 전년의 3035억원보다 8.3% 늘었다. 하지만 상위 10곳의 순익(2732억원)이 전체 순익(3287억원)의 83.1%를 차지해 쏠림 현상이 매우 심했다.

작년 연기금, 보험회사 등 기관투자자의 자산운용사에 대한 투자일임 증가로 영업 규모도 크게 늘었다. 지난 3월 말 현재 영업규모는 622조원으로 작년 3월 말의 539억원보다 15.4% 증가했다. 펀드설정액이 303조원에서 335조원으로 10.6% 늘었고 투자일임액이 236조원에서 287조원으로 21.6% 늘었다.

전체 자산운용사의 평균 영업용순자본비율(NCR)은 3월 말 현재 534%로 작년 동기 대비 19%포인트 상승했다. 엠플러스가 2275%로 가장 높고 프런티어가 159%로 가장 낮다. 자본금은 1년 새 444억원이 늘어 올해 3월 말 현재 1조5543억원에 달했다.

한편 작년에 브레인, 삼성에스알에이, 에프지가 새로 생겼으며, 와이즈에셋은 업계 처음으로 인가가 취소됐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