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일 대형주택업체 모임인 한국주택협회에 따르면 회원사들의 다음달 분양계획을 집계한 결과 12개사가 16곳에서 1만3741가구를 공급할 계획이다.
이는 지난해 3월(2만143가구)보다 31.8% 줄어든 수준이다. 최근 3년간 3월 공급물량(1만5849가구)보다도 13.3% 감소했다.
지역별로는 서울·수도권이 전년보다 1.2% 줄어든 1만1945가구를 공급할 예정이다. 서울과 경기도에서 각각 4457가구, 7488가구가 선보인다. 지방은 다음달 1796가구를 분양해 1년 전 8059가구보다 보다 무려 77.7% 급감했다.
사업유형별로는 재개발·재건축이 8246가구로 가장 많다. 자체분양은 3246가구, 단순도급은 2249가구다.
주택협회 관계자는 “일부 부동산 정보업체는 당므달 분양 물량이 5만6000여가구로 봇물을 이룰 것이라고 전망하지만 건설사는 아직 4·1 대책 효과를 체감하지 못하고 있다”며 “매매시장도 저가매물 소진 후 소강상태가 이어지고 있어 아파트 분양에 나서기에는 시장의 불확실성이 해소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분석했다.
주택협회에 따르면 올 1~4월 분양실적은 5만6932가구로 전년 동기(7만6184가구)보다 25.3% 감소했다. 같은 기간 주택협회 회원사 분양실적도 3만7398가구에서 2만3988가구로 35.9% 급감했다.
최근 분양한 아파트의 청약 경쟁률도 큰 변화가 없고 일부 지역을 제외한 계약률도 부진해 시장이 크게 호전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주택협회 관계자는 “분양가 상한제 운용 개선, 다주택자 양도세 중과 폐지, 담보대출인정비율(LTV)·총부채상환비율(DTI) 조정, 취득세 감면 연장 등 후속조치에 대한 논의가 6월 임시국회에서 조속히 마련돼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