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층이 늘면서 15~64세의 생산가능인구 1.7명이 노인 1명을 부양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일 통계청이 발표한 ‘2012 한국의 사회지표’ 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65세 이상 고령인구의 비중은 1980년 3.8%에 불과했으나, 2030년에는 24.3%로 50년간 20.5%포인트나 증가한다.
이에 따라 노년부양비도 늘어난다. 2040년 노년부양비(15~64세의 생산가능인구 100명에 대한 65세 이상 인구의 비)는 57.2로, 이는 생산가능인구 1.7명이 노인 1명을 부양하는 셈이다.
1980년에 65.7년이었던 기대수명도 2011년에는 81.2년으로 높아졌다. 이로써 평균연령도 1980년에는 25.9세로 청년층이었으나, 2011년에는 38.4세로 높아진데 이어 2040년에는 49.7세로 높아진다.
또 지난해 기준 우리나라의 총 인구는 5000만명으로 2030년까지 성장을 지속하지만 2031년부터는 마이너스 성장을 시작, 2040년에는 -0.4% 수준으로 감소할 것으로 전망됐다.
지난해 총 출생아 수는 48만4000명, 사망자 수는 26만7000명으로 자연증가율(1000명당 증가수)은 전년과 유사한 4.3명 수준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