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대병원이 4년 사이 감기로 병원을 내원한 환자를 조사한 결과 3~4월 다음으로 5~6월이 연중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2009년부터 2012년까지 병원에 단순 감기로 내원한 3만978명 환자를 조사한 결과 연중 3~4월 감기 환자가 19%(5793명)로 가장 많았다.
이어 5~6월 감기 환자가 18%(5546명)로 둘째로 많았다.
이는 한겨울인 1~2월 15%(4764명), 11~12월 17%(5434명) 보다 5~6월 감기 환자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 우리가 일반적으로 겨울에 감기 환자가 많을 것으로 생각하는 예상을 뒤엎는 의외의 결과다.
이 같은 결과에 대해 의료계는 급격한 외부 온도의 변화로 인체의 방어능력과 면역력이 저하를 꼽는다.
실제 지구 온난화의 영향으로 우리나라의 기후대가 아열대기후로 변하고 있으며 실제 여름의 길이가 점차로 길어지고 봄, 가을의 기간은 짧아지고 있다.
한참 낮 기온이 상한선을 달리다가 체감 온도마저 더워 자칫 건강관리에 방심하기 쉬운 요즘, 저녁 무렵부터 쌀쌀해지거나 비가 동반되는 경우에는 기온이 많이 떨어지므로, 낮 기온에 맞춰 가볍게 옷차림을 하고 나섰다간 큰 일교차로 감기에 걸리기 쉽다.
실내의 냉방시설로 자칫 냉방병으로 인해 감기에도 걸리기 쉽다.
여름감기로 불리는 냉방병은 시원한 실내에 있다가 기온이 높은 외부로 갑자기 나갈 경우 나타났다.
실내온도와 실외온도와의 극심한 온도변화로 체내의 조절기능에 이상이 초래되면서 감기 증상 같은 두통·신경통·요통·위장장애 등이 일어나는 것이 특징이다.
냉방장치는 공기 중 수분을 응결시켜 기온을 떨어뜨리는데 1시간 동안 계속해서 틀면 습도가 30~40% 수준으로 내려가는데, 이런 환경에서는 호흡기 점막이 마르면서 저항력이 떨어져 감기 등 호흡기 질환에 쉽게 걸리게 된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실내 기온이 25도 이하로 내려가지 않도록 하고 가능한 한 실내외 기온차가 5도를 넘지 않도록 하며 냉기를 직접 받지 않도록 해야 한다.
냉방에 들어갈 때는 땀을 잘 닦고 긴소매로 조절하며 틈틈이 바람을 쐬며 가벼운 운동을 하며 따뜻한 물이나 차를 마셔 수분을 충분히 섭취하고 냉방을 계속 할 경우에는 1시간 정도의 간격으로 실내외 공기가 잘 순환이 되도록 환기를 시켜주는 것이 좋다.
정재우 중앙대병원 호흡기알레르기내과 교수는 “실제 감기는 면역력이 저하되는 경우에 주로 발생하는 바이러스 감염으로 환절기에는 오히려 일교차가 커지면서 신체가 온도변화에 적응하지 못하고 면역력이 저하되면서 발생한다”고 말했다.
그는 또 “여름에 무슨 감기냐며 그냥 방치해뒀다간 기관지염이나 폐렴으로 진행할 수 있다”고 주의를 당부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