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조국평화통일위원회(조평통)는 7일 대변인 특별담화를 통해 "이를 위해 남조선 입주기업 관계자들의 출입을 전면 허용한다"며 이같이 밝혔다.
조평통 대변인 특별담화에는 "북과 남 쌍방이 해야 할 것은 개성공업지구를 파탄으로 몰아갈 것이 아니라 소중한 민족 공동의 재부(財富)를 위기에서 구원하고 번성하게 하는 것이며, 이것이야말로 애국적 용단이고 정의로운 선택"이라고 말했다.
또 "지난 4월 8일 선포한 공업지구 잠정중단 조치를 해제하고 공업지구에 대한 남조선 기업들의 출입을 전면 허용한다"면서 "공업지구 공장들의 설비점검과 가동 준비가 되는 남조선 기업들에 우리 근로자들의 정상출근을 보장한다"고 말했다.
정부가 강하게 주장해온 신변안전 등에 대해서도 "개성공업지구 남측 인원들의 신변안전을 담보하며 기업들의 재산도 철저히 보호할 것이다"라고 약속했다.
특히 재발방지 부분에 대해서도 "북과 남은 공업지구 중단사태가 재발되지 않도록 하며 어떤 경우에도 정세의 영향을 받음이 없이 공업지구의 정상운영을 보장하도록 한다"고 강조했다.
북한은 이 같은 의지를 담은 담화문을 전하면서 "오는 14일 제7차 실무회담을 열어 좋은 결실들을 만들어 온 민족에게 기쁜 소식을 전하게 하자"고 덧붙였다.
북한이 우리 정부가 원하는 전향적인 태도변화의 조짐을 보인 것이다.
이에 앞서 정부는 8일부터 개성공단으로 피해를 본 입주기업들에 대해 본격적으로 경협보험금 지급에 나서기로 했다.
경협보험금 지급은 곧 입주기업들이 개성공단에서 사실상 손을 떼는 것과 마찬가지여서 공단 완전폐쇄 조치의 첫 신호탄으로 평가받았다.
하지만 북한이 전격적으로 7차 회담을 제안해왔고 우리 정부가 이를 수용함에 따라 꺼져가던 개성공단의 정상화의 불씨를 살릴 수 있게 됐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