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강승훈 기자=올해 2월 선보인 '후불형 모바일 교통카드 서비스' 가입자가 10만명을 넘어섰다.
후불형 모바일 교통카드 서비스는 기존 충전해 결제하던 방식이 아닌 대중교통수단에서 먼저 이용하고 결제대금은 신용·체크카드로 차후 지불하는 것이다.
서울시는 후불형 모바일 교통카드 서비스 이용이 늘어나면서 결제카드를 현재 신한카드에서 오는 21일부터 우리카드로 확대한다고 19일 밝혔다.
우리카드의 경우 SKT·KT 스마트폰 이용자를 대상으로만 우선 적용된다. 체크카드는 소액 신용한도(20만~30만원)가 부여된 때에만 이용 가능하다.
후불형 모바일 교통카드의 일일 이용건수는 지난 2월 4000건에서 7월 10만건까지 늘었다. 전체 이용건수 중 대중교통이 95.7%, 나머지는 택시 및 유통분야에서 쓰이고 있다.
이번 서비스는 스마트폰 앱 마켓에서 '모바일 티머니 앱'을 내려받아 설치한 뒤, 앱 화면에서 '후불형 서비스'를 선택하고 스마트폰 명의자 신용·체크카드를 등록하면 된다.
윤준병 시 도시교통본부장은 "앞으로 시민들이 대중교통을 보다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후불형 모바일 교통카드 및 관련서비스를 더욱 다양화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