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ICT 생태계의 한·중 협력과 공진' 컨퍼런스가 24일 서울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열렸다. |
아주경제 박현준 기자=중국의 정보통신기술(ICT)이 빠르게 성장하며 한국을 위협하고 있다.
ICT의 최대 생산국이자 소비국인 중국은 정부가 인프라를 투입하고 내수를 진작시키며 소비를 확대하는 선순환 구조를 형성하며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24일 정보통신정책연구원(KISDI) 주최로 서울 대한상공회의소 국제회의장에서 열린 ‘KISDI 글로벌 컨퍼런스 2013-ICT 생태계의 한·중 협력과 공진’에서 김성옥 KISDI 연구원은 “한국보다 10여 년 이상 뒤져있는 것으로 판단됐던 중국의 ICT 산업이 질적 도약을 시작하면서 빠르게 한국을 추격하고 있다”고 말했다.
2010년 기술수준평가에 따르면 한국과 중국의 ICT 기술격차는 평균 2.5년으로 비메모리 반도체가 4년, 차세대 메모리 반도체 기술이 3.9년이다.
차세대 정보보호기술과 차세대 초고성능 컴퓨팅 기술은 각각 1.3년으로 그 격차가 가장 작다.
또 한국은 2011년부터 국제특허출원건수가 중국에 뒤처지기 시작했다.
특허협력조약(PCT)을 통한 한국의 국제특허출원건수는 미국(27.6%), 일본(21.4%), 독일(10.2%), 중국(9.0%)에 이은 세계 5위를 기록 중이다.
업체별로는 중국의 ZTE가 2826건으로 특허출원건수 1위에 올랐으며 LG는 1336건으로 8위, 삼성전자는 757건으로 15위를 기록했다.
지난해 전 세계 스마트폰 점유율에 따르면 삼성전자가 30.3%를 기록하며 1위를 기록했고 LG전자는 3.8%로 8위에 올랐다.
중국 업체들은 상위 20위권 중 10개를 차지하며 선전했다.
화웨이가 4.0%로 6위, ZTE가 3.9%로 7위, 레노버가 3.2%로 10위에 오르는 등 중국 업체들의 비중이 높아지고 있다.
김 연구원은 “화웨이나 ZTE를 제외한 다른 중국 업체들은 점유율이 낮아 중국 내수 판매만으로 나온 수치가 아니냐는 지적이 있다”며 “하지만 세계 20위권의 절반을 차지한다는 것은 여러 가지 부품이나 공급 사슬들이 한국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국내 중소 부품 업체나 콘텐츠 업체들이 중국의 대기업 등의 공급 사슬과 협력 지점을 찾아내는 것이 한국과 중국의협력 방안을 도출하는데 관건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