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명성기구 "한국 공공부문 청렴도 3년연속 악화"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3-12-03 14:12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부패인식지수 순위 3년간 7계단 하락…"독립적 반부패 국가기관 필요"

아주경제 김동욱 기자 = 우리나라의 공공부문 청렴도가 3년 연속 하락하면서 악화일로에 있다는평가가 나왔다.

3일 국제투명성기구에 따르면 각국 공공부문 청렴도 평가 지표인 부패인식지수(CPI) 순위에서 올해 우리나라는 100점 만점에 55점을 받았다. 

지난해 45위에서 올해 46위로 순위가 한 계단 떨어졌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4개 회원국 중에는 순위가 27위로 지난해와 같았다. 한국은 3년째 같은 순위를 유지했다. 한국은 2009년과 2010년 39위를 기록하다 2011년 43위로 순위가 밑으로  내려갔다.

이어 지난해와 올해 순위가 또 내려가면서 최근 5년간 한 번도 순위 상승이  없었다. 

CPI는 공직사회와 정치권 등 공공부문에 부패가 얼마나 존재하는지에 대한 인식정도를 평가한 지표이다. 조사 대상국에 거주하는 전문가를 비롯해 전 세계  기업인과 애널리스트 등의 의견을 반영해 산출한다.

올해 덴마크와 뉴질랜드가 91점을 받으며 공동 1위를 차지했다. 이어  핀란드·스웨덴(공동 3위), 노르웨이·싱가포르(공동 5위), 스위스(7위), 네덜란드(8위), 호주·캐나다(공동 9위) 등이 10위 안에 들었다.    

일본은 지난해보다 한 단계 하락한 18위, 미국과 중국은 지난해와 같은 19위, 80위를 기록했다.

2011년 처음 대상국에 포함된 북한은 아프가니스탄·소말리아와 함께 최하위인 175위를 기록했다. 세 국가는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가장 낮은 8점을  받았다.    

한국투명성기구는 △독립적 반(反)부패 국가기관 복원  고위공직자비리수사처 신설과 검찰 개혁 내부고발자 보호범위 확대 청렴교육의 강화 공공·기업·시민사회의 협력적 거버넌스 복원 등을 해법으로 제시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