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희스타힐스

<취재현장> 최병렬 포스코 차기 회장 내정설…왜 청와대가 부인하나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3-12-17 17:19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아주경제 채명석 기자 = 청와대가 17일 포스코 차기 회장 후보로 최병렬 전 한나라당 대표가 내정됐다는 언론 보도에 대해 “가능성이 없다”고 부인했습니다.

얼핏 보면 청와대 관계자의 말을 빌려 나온 기사이니 청와대가 해명하는 게 맞을지 모르겠습니다.

하지만 선배 기자가 던져주시는 팁을 듣고 다시 생각해 보니 이상합니다. 분명 지분구조상으로 포스코는 민간기업입니다. 민간기업인 포스코가 최고경영자(CEO)인 회장을 선출하는 절차는 포스코가 자력으로 하는 게 맞습니다. 그런데 왜 청와대가 아니라고 해명을 해야하는 것일까요?

포스코의 회장 선출 작업에는 항상 정권의 개입이 있어왔고, 이번에도 그렇게 되는 것이 당연하다고 여기고 있기 때문일 겁니다. 심정적으로 누구나 알고 있는 드러난 비밀이지만, 포스코의 회장 선출 과정은 늘 요식행위라고 치부하려고 해도 적법한 절차로 진행돼 왔기 때문에 법적으로 문제를 삼을 수는 없었습니다.

그런데, 청와대의 이날 해명은 포스코 회장 선출과정에 개입을 하고 있다는 것을 스스로 증명한 셈이 돼 버렸습니다. 최 전 대표가 직접 자신은 아니라고 말을 했고, 이 정도로만 끝났으면 무마됐을 법한 일을 청와대가 생각 없이 나서서 화를 자초한 것입니다.

가장 답답한 이들은 당사자인 포스코입니다. 포스코로서도 할 말이 많겠지만 지금은 최 전 대표를 비롯해 다른 인사들에 대한 어떠한 언급도 할 수 없는 상황입니다. 포스코는 현재 CEO승계카운슬을 통해 후보 인사에 대한 검증 작업이 진행중이며, 20일경 열리는 CEO후보추천위원회에서 결정할 예정입니다. 아직 후보자 검증 작업도 진행되지 않은 상황에서 특정 인물의 맞다, 아니다 여부는 물론 해당 인사가 후보군에 있는지도 확인할 수가 없는 것이지요.

가뜩이나 정권의 개입설로 혼란스러운 포스코 회장 선출 문제는 청와대의 잘못된 행동으로 한층 더 복잡해지고, 의혹도 커지는 결과를 낳고야 말았습니다. 이제는 CEO후보추천위에서 누굴 후보로 결정하더라도 청와대의 재가를 얻은, 정권의 인사가 맡았다는 의혹을 피할 수 없게 됐습니다.

포스코의 최대 약점인 지배구조의 독립은 더 한층 멀어지고 있다는 생각이 들어 씁쓸할 따름입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