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3/12/23/20131223155711444470.jpg)
강만수 전 산은지주 회장(왼쪽부터), 어윤대 전 KB지주 회장, 김승유 전 하나지주 회장, 이팔성 전 우리지주 회장
이명박 정권 시절 금융권의 중심에 있던 이른바 '4대 천왕'에 대한 현 정부의 압박이 갈수록 거세지고 있는 것이다. 이에 대해 일각에선 당국의 전방위적인 금융권 압박이 '현정부의 전정권 색깔 빼기'가 아나냐는 곱지않은 시선도 있다.
23일 금융권에 따르면 최근 금융감독원은 산업은행이 대주주인 대우건설에 대해 회계처리 기준 위반 혐의로 감리에 착수했다.
금감원은 산업은행과 대우건설의 재무제표가 연결된 점을 고려해, 대우건설에 대한 감리가 끝난 뒤 산업은행도 직접 점검할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다. 대우건설에 대한 회계 감리가 향후 산업은행에 대한 특별 검사 등으로 확대될 가능성이 높아진 셈이다.
대우건설 최대주주는 산업은행이 100% 지분을 가진 'KDB밸류 제6호 사모펀드'로, 대우건설 지분 50.7%를 보유하고 있다. 대우건설에 대한 감리 착수는 대규모 비자금 조성 의혹과도 연관됐다.
대우건설은 이명박 대통령 시절 4대강 공사를 추진하는 과정에서 비자금을 조성한 혐의를 받고 있다. 그러나 단순히 대우건설과 산업은행의 문제만을 파헤치기 위해서가 아니라, 강만수 전 회장을 압박하기 위한 것으로 풀이된다.
강 전 회장은 박근혜 정부가 출범한 뒤 지난 3월 일찌감치 사의를 표명하고 금융권을 떠났다. 그 후 강 전 회장을 둘러싼 별다른 의혹과 논란은 없었지만, 결국 대우건설 문제로 강 전 회장도 피할 수 없는 현정권의 금융권 'MB 그림자 지우기'에 걸려들었다는 분석이다.
'4대 천왕'인 어윤대 전 KB금융지주 회장, 이팔성 전 우리금융지주 회장, 김승유 전 하나금융지주 회장은 이미 금융당국의 조사 대상에 올랐다. 최근 어윤대 전 회장은 금감원 제재심의위원회에서 이사회 안건 자료 등이 미국 주총안건 분석기관 ISS에 제공된 것과 관련해 주의적 경고 상당의 징계를 받았다.
특히 국민은행 도쿄지점 비자금 조성 의혹으로 당국의 조사는 어 전 회장 쪽으로 바짝 다가선 실정이고, 일각에서 사법처리될 것이란 우려도 나오고 있다. 얼마 전에는 국민은행 도쿄지점의 한 직원이 지점 내에서 숨진 채 발견돼 상황은 더욱 악화됐다.
또 박동순 국민은행 상임감사위원이 부정·비리 등을 제대로 통제하지 못한 데 책임을 지고 사의를 표명하는 등 국민은행 사태는 갈수록 커지고 있는 실정이다.
박근혜 정부 출범 전 이미 회장직에서 몰렀났던 김승유 전 회장 역시 당국의 감시망에서 자유롭지 못하다. 김 전 회장은 최근 하나은행 종합 검사에서 재직 시 과도한 미술품을 구매한 것과 퇴임 후 지나친 고문료를 받은 것에 대해 집중 점검을 받았다. 김 전 회장은 하나금융과 모든 관계를 정리하고 다음달 해외로 출국할 예정이다.
금융당국과 해당 금융사 측은 최근 진행되는 일련의 조사들이 전 회장들과는 관련되지 않았다는 입장이다. 산업은행 관계자는 "대우건설 분식회계 의혹이 불거진 것도 안타깝지만, 전 회장과 연관돼 거론되고 있어 더욱 당혹스럽다"며 "특정인을 겨냥해 조사가 진행되진 않을 것이라 믿는다"고 말했다.
그렇지만 외부에서 보는 시각은 다르다. 한 은행 관계자는 "정권이 바뀔 때마다 금융권에서 낙하산 인사가 있었고, 이번 정권도 예외는 아니므로 전 정권의 색깔을 뺄 필요가 있지 않겠냐"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