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날 롯데호텔에서 열린 인사회에서 김 총재는 신년사를 통해 "앞으로 우리경제가 경기회복세를 지속해 잠재 수준의 국내총생산(GDP)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정책당국 뿐만 아니라 금융인 여러분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면서 "무엇보다도 금융기관 본연의 임무인 금융중개기능을 활성화해 경기회복 과정에서 기업이 필요로 하는 자금을 원활하게 조달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해 김 총재는 "우리경제의 성장잠재력 확충을 위해 새로운 성장 분야로 금융중개 영역을 확대하고 기술력 있는 중소기업에 대해 금융지원을 강화하는 데도 힘써야 할 것"이라며 "한정된 금융자금이 효율적으로 배분될 수 있도록 한계기업의 구조조정 추진도 게을리 하지 말아야 한다"고 당부했다.
미국의 양적완화 축소 등에 따른 국제금융시장 변화에 대한 대응책도 언급했다.
그는 "미 연준의 통화정책 변화와 이에 대한 국제금융시장의 반응 등에 따라서는 외국인 투자자금과 국내외 금융시장 가격변수의 변동성이 크게 확대될 수 있다"면서 "금융기관은 내부의 취약요인을 면밀히 점검하고 발생 가능한 리스크를 상시 평가해 사전적으로 대비하는 데 노력을 아끼지 말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바젤Ⅲ의 자본 및 유동성규제 시행과 볼커룰 등 금융규제 강화 움직임에도 관심을 가지고 준비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아울러 최근 저하된 금융기관 수익성과 자산건전성 회복도 강조했다.
김 총재는 "대출대상 유망 중소기업을 적극 발굴해 핵심 수익원을 확충해 나가는 한편, 비효율적 부문의 비용절감과 영업기반 확충 등을 통한 수익원 다변화 노력도 강화해야 한다"면서 이 같은 노력이 우리 경제 내수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