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새 AI 떼죽음 추정에 방역당국 '초비상'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4-01-18 13:16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철새 비행경로 금강하구~줄포만~동림저수지 우선 점검

아주경제 김현철 기자 =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가 발생한 전북 고창 종오리 농장인근 저수지에서 가창오리가 떼죽음해 방역당국에 초비상이 걸렸다.

18일 전북도에 따르면 국립수의과학원에서 고병원성 AI 관련 역학조사를 벌이던 중 지난 17일 동림저수지에서 1000여마리의 가창오리가 무더기로 죽어 있는 것을 발견했다. 역학조사팀은 이중 20여마리를 시료용으로 수거했다.

고창 종오리 농장에서 발생한 고병원성 AI와의 관련성은 아직 판명되지 않았지만, 방역당국은 농장과 저수지가 멀리 떨어져 있지 않은 점을 들어 연관성을 배제하지 않고 있다.

만약 떼죽음의 원인이 이와 관련된 것으로 확인되면 고창은 물론 철새 비행경로 내에 있는 전북도내 가금류 농가 등으로 피해가 확산될 전망이다.

전날 고병원성 AI로 판명 난 고창 신림면의 종오리농장의 바이러스 유입경로는 현재까지 철새 분비물에 의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성신상 전북도 농수산국장은 “1월 6일쯤 해당 농장 위로 가창오리떼의 군무가 수차례 펼쳐진 것으로 파악됐다"며 "이들 가창오리의 분비물에 의한 감염이 원인이 아닌가 추정된다”고 말했다.

같은날 오후 늦게 AI의심 신고를 한 부안 줄포면 육용오리 농가 역시 현재로선 조류의 분비물이 가장 강력한 감염원으로 거론된다.

고창 오리농가와 부안 농가 모두 군산 하구둑∼부안 줄포만∼고창 동림저수지 등으로 이어지는 전북도내 겨울 철새의 주요한 비행경로에 있다.

정부의 발표를 지켜봐야 하겠지만 고창 가창오리 떼죽음과 연관성이 있다면 부안 줄포면 오리농가도 고병원성 AI로 확진 날 가능성이 제기된다.

따라서 도내 철새비행 경로 반경 내에 있는 전 가금류 농가에 대한 시찰과 방역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전북도 방역 전문가는 “철새가 닭이나 오리보다 면역력이 강해 고병원성 AI에 감염되더라도 떼죽음한 사례는 현재까지는 없는 것으로 알고 있다”면서도 “만약 고병원성 AI라면 면역력이 강한 철새가 죽을 정도의 강력한 바이러스가 발병했다고 볼 수 있는 만큼 방역계획과 범위를 전면 손볼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전북도도 이번 상황을 심각하게 보고 동림저수지 주변에 대한 방역과 철새경로에 산재한 농가예찰을 강화하기로 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