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권경렬 기자 = 박근혜 대통령이 다보스포럼에서 창조경제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국토교통부의 국토공간정보 공개 정책을 거론해 주목된다.
제44차 WEF(세계경제포럼) 연차총회(일명 다보스포럼) 참석차 스위스 다보스를 방문 중인 박 대통령은 포럼 개막일인 22일(현지시각) '기업가 정신, 교육, 고용을 통한 세계의 재구성'이라는 주제의 첫 전체세션 기조연설에서 "한국 정부가 3D 지도와 지적도 등 국토공간정보를 민간에 개방하자 한 창업기업은 지도상에서 태양광 장비의 설치 장소를 선택하면 발전량과 수익성을 쉽고 편리하게 예측해주는 앱 서비스를 개발했다"고 말했다.
박 대통령은 이어 "국토공간정보를 활용해서 누구나 쉽게 다양한 서비스를 개발할 수 있도록 데이터에 대한 접근과 이용방식을 공개했는데, 이를 통해 2017년까지 1만2000개의 좋은 일자리가 생길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날 박 대통령이 강조한 국토공간정보는 우리 정부가 창조경제의 핵심 동력 중 하나로 꼽고 있는 분야다.
정부는 지난 1995년 국가 기본도와 지적도 사업을 시작으로 6년 단위의 국가 지리정보시스템 사업을 추진해오고 있다.
현재는 4차 단계(2010년~2015년)에 해당하며 공간정보 공유 및 활용 사업에 주력하는 시기다. 그 동안 우리 정부는 1조6000억원 이상을 R&D 분야에 투자하며 국가 공간정보 활용을 위한 최적의 환경 만들기에 공들여 왔다.
국토부도 지난해 공간정보 산업 관련 지원 예산을 대폭 늘린 바 있다.
우리나라는 중앙정부와 지차체, 기관에서 만들어진 정보를 통합하고 표준화해서 데이터나 오픈 API, 기능 제공 형태로 민간에 활용 망을 공급하고 있다. 포털 기업뿐 아니라 일반 기업, 연구소, 일반인, 창업자들이 이를 적극 활용할 수 있도록 만드는 게 정부의 목표다.
국토부 산하 공간정보산업진흥원이 내놓은 브이월드(www.vworld.kr)를 계기로 일반인들에게도 공간정보산업이 주목 받고 있다. 브이월드는 작년 한때 접속자가 40만을 돌파하며 서버가 마비됐을 정도다. 브이월드가 '구글 어스'보다 선명한 3D지도를 서비스하고 있기 때문이다.
또 국토부는 지난해 말부터 국가공간정보유통시스템(www.nsic.go.kr)을 통해 민간기업에서 생산한 공간정보를 유통하고 있다. 정부에서 제공한 공간정보를 통해 재생산된 민간 공간정보를 다시 보급하는 것이다.
국토부는 민간부분 정보유통 활성화가 본격화되면 공공기관과 민간기업의 상호 발전을 통한 다양한 부가가치가 창출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