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윤태구 기자 =기아자동차의 수익성에 빨간불이 들어왔다. 매출은 사상 최대를 기록하는 등 다소 늘어났지만 영업이익은 두자릿수 가까이 감소했다.
기아차는 24일 서울 양재동 본사에서 2013년 연간 경영실적 컨퍼런스콜을 통해 지난해 판매 282만7000여대를 포함, 매출액 47조5979억원, 영업이익 3조1771억원, 세전이익 4조8286억원, 당기순이익 3조8171억원 등의 실적을 올렸다고 밝혔다.지난해 매출 47조5979억원, 영업이익 3조1771억원 실적을 기록했다. 매출액은 전년 대비 0.8% 늘어났고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무려 9.8%감소했다.
지난 해 전체 판매는 늘어났다. 기아차는 K3, K5, K7 등 K시리즈를 비롯한 스포티지R 등 주요 차종의 판매호조와 브랜드 이미지 상승 효과로 전년대비 4.0% 증가한 282만7000여대를 판매했다.
특히 판매 증가는 해외공장이 주도했다. 특근차질 및 노조의 부분파업 등의 영향으로 국내공장생산 분은 159만8000대로 0.6% 증가하는 데 그쳤지만 해외공장은 현지생산 차종의 판매호조를 바탕으로 전년 대비 8.7% 증가한 122만9000대를 판매해 국내공장 부진을 만회했다.
매출액은 환율 하락과 내수 경기 침체에 따른 내수판매 부진 등에도 불구하고 글로벌 판매 대수 증가와 K7 북미 진출 등에 따른 판매단가 상승 등의 영향으로 전년 대비 0.8% 증가했다.
문제는 영업이익이다. 영업익은 시장 경쟁력 강화에 따른 양적·질적 성장 노력과 판매관리비 감축 노력에도 불구하고 원화 절상에 따른 매출원가율 증가 등의 요인으로 전년 대비 무려 9.8% 감소한 3조1771억원을 기록했다.
영업이익률은 지속적으로 감소 추세다. 기아차의 지난 2012년 영업이익률은 7.5%로 전년 동기 대비 0.7%포인트 하락했다. 올해 역시 지속적인 '제값 받기' 노력에도 불구하고 영업이익률 6.7%에 불과하다.
세전이익과 당기순이익은 차입금 상환에 따른 이자손익 개선 등의 영향으로 금융손익은 증가했지만 주요 관계회사 투자손익 감소로 전년대비 6.5%, 1.2% 감소한 각각 4조8286억원, 3조8171억원을 기록했다.
한편 4분기(10~12월) 기준으로는 원화 절상과 인건비 상승 등 경영환경은 좋지 않았지만 전년 동기 대비 판매대수 및 판매단가가 상승한 데다가 지난 2012년 4분기 1회성 요인이었던 북미 연비 보상금 반영에 따른 기저효과로 영업이익은 60.8% 증가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